세대를 나누어 살펴보는 공병우 세벌식 자판 - 7. 맺음말

7. 맺음말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공병우 자판의 글쇠 배열이 자주 바뀐 데에는 날로 달라지는 기기 환경과 수요자들의 요구가 많은 영향을 미쳤다. 공병우 타자기가 여러 업무에 쓰이면서 공병우 자판에는 초창기보다 다양한 기호가 들어갔고, 전신 타자기나 셈틀에 맞춘 공병우 자판도 등장했다. 1970년대에는 한·영 겸용 수동 타자기를 손쉽게 설계하려 한 것이 한글 배열이 바뀌는 원인이 되었고, 몇 차례 바뀌었던 한글 맞춤법도 글쇠 배열에 헤아려야 했던 변수였다.

  공병우 자판의 굵직한 글쇠 자리 바꿈이 일어난 배경과 거둘 수 있었던 효과를 다음처럼 간추려 본다.

① 두째 세대 : 첫소리 ㄲ·ㄸ·ㅃ·ㅆ·ㅉ과 겹받침 ㄳ·ㄵ·ㄾ을 빼고, 겹홀소리를 만들 때 쓰는 ㅗ·ㅜ를 오른쪽에 따로 넣음
 → 안움직글쇠로 넣던 홀소리를 움직글쇠에 넣어서 기호가 들어가는 글쇠 자리를 늘림

② 세째 세대 : 첫소리 ㄹ과 ㅅ의 자리를 맞바꿈
 → ‘수’를 빨리 찍을 때의 활자대 엉킴을 줄임
 → 첫소리 ㄹ보다 ㅅ이 자주 쓰이는 것을 반영함
 → 오른손 두째 손가락의 운지 거리를 줄임

③ 네째 세대 : 홀소리 ㅐ·ㅕ·ㅛ가 받침이 있던 왼쪽 세째 손가락(중지) 자리에 들어가고, 그 자리에 있던 받침 ㄴ·ㅍ·ㅆ 등은 네째·다섯째 손가락 자리로 옮겨 감
 → 되도록 간단한 수동 타자기 틀로 한·영 겸용 타자기를 만들기 좋은 한글 배열을 마련함
 → 왼손 두째 손가락에 집중된 타수 비율을 낮춤

④ 다섯째 세대 : 홀소리 ㅐ·ㅣ의 자리와 첫소리 ㄱ·ㄷ의 자리를 맞바꿈
 → 셈틀 자판의 특성에 맞추어 세째 손가락의 타수 비율과 바탕 자리의 타수 비율을 높임

⑤ 2010년대 초 : ㅓ와 ㅐ의 자리를 맞바꾸고 ㅒ와 받침 ㅈ의 자리를 옮김
 → 셈틀 자판에서 불합리하게 작용된 수동 타자기 설계 요소를 없앰
 → 3-90 계열(사무용)과 3-91 계열(문장용)의 한글 배열을 더 비슷하게 맞춤


  공병우 타자기에서 겹홀소리에 넣는 ㅗ·ㅜ가 글쇠에 따로 들어갔던 까닭은 글쇠에 문서에 쓰이는 기호를 더 넣고자 한 데에 있다. 초창기 공병우 타자기에서 홀소리와 받침은 안움직글쇠에 들어갔기 때문에 홀소리 자리에 기호가 들어가지 않았다. 하지만 홀소리의 윗글 자리에 기호를 더 넣으려고 홀소리를 움직 글쇠에 넣으면서 ㅘ·ㅝ 등을 칠 때에 군동작이 들어가는 것에 대한 보완책이 필요했다. 그래서 두째 세대 이후 배열을 쓴 공병우 수동 타자기에는 겹홀소리에 쓰는 ㅗ·ㅜ가 안움직글쇠에 따로 들어갔다. 그런데 오른쪽에 따로 들어간 ㅗ·ㅜ는 왼손에 집중된 두 손의 타수 균형을 맞추어 글을 더 매끄럽게 치게 하는 효과도 냈으므로 오늘날의 셈틀 자판에까지 이어졌다.

 1970년대의 한·영 겸용 타자기에는 왼손 두째 손가락 자리에 몰려 있던 홀소리 가운데 일부가 세째 손가락 자리에도 들어갔다. 이는 영문 배열을 오른쪽으로 두 글쇠씩 되도록 간단한 수동 타자기의 틀로 한·영 겸용 타자기를 쉽게 만들고자 한 임시 방편이었다. 그런데 1980년대 말부터 나온 셈틀 보급용 공병우 자판에도 왼쪽 세째 손가락에 홀소리가 들어가는 특징이 이어졌으므로, 한·영 타자기에서 바뀐 한글 배열이 수동 타자기에서만 뜻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이처럼 공병우 자판에는 처음에 옛 기기를 배려했다가 새로운 기기에서도 좋은 효과를 내서 특징으로 굳은 배열 요소들이 있다. 공병우 자판을 한두 배열만 바라보면 글쇠 배열이 바뀐 속내와 뒤에 이어진 효과를 많이 놓칠 수 있지만, 쓰인 기기의 특성을 헤아려 시차를 두고 나온 배열들을 서로 견주어 보면 공병우 자판의 배열 원리를 더 깊이 이해할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이제는 한때 흔했던 수동 타자기도 점점 골동품이 되어 가고 있다. 박물관 등을 일부러 찾지 않는다면 눈으로 볼 기회도 많지 않고, 공병우 자판을 쓴 옛 기기들을 손수 다루어 볼 기회를 잡기는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그 때문에 기기를 다루는 모습을 담은 사진/영상과 기기 설계도, 타자 교본 같은 자료들이 연구자들의 소중한 간접 연구 자료가 될 수 있다. 열정 있는 자판 연구가도 모든 자판 배열을 익히며 연구하기는 어려우므로, 공병우 자판을 써 보지 않은 이의 이해를 도울 만한 참고 자료가 관련 분야 연구에 필요하다.

  그러나 공병우식 기기들이 모두 실물이 잘 보존되고 참고 자료가 잘 쌓여 있는 것은 아니다. 이를테면 공병우식 사진 식자기는 공병우의 자서전을 통하여 개발된 이력이 알려져 있지만, 실물이나 사진이 공개되지 않아서 그 기계들을 눈으로 보지 못한 사람들은 어떤 모습으로 어떻게 쓰였는지 알 수 없다. 그 때문에 누군가 공병우식 식자기가 실제로 개발된 적이 없다고 주장하더라도 반박하기조차 어렵다. 오늘날에는 타자기를 쓰던 때보다 공병우 자판 배열이 찍힌 기계를 보기 어려워서, 나중에는 3-90 자판처럼 셈틀에서 쓰이고 있는 공병우 자판이 얼마나 쓰였는지를 밝히기 어려울 수 있다. 공병우 자판은 한글 기기 역사의 살아 있는 화석이라고 할 만하지만, 자판이 쓰인 기기들에 대한 근거 자료와 기기 실물이 드물다면 진지한 연구 활동이 이어지지 못하여 역사 속에 묻힐 수 있다. 이런 점 때문에 글쓴이는 한글문화원처럼 내력 있는 단체가 공병우 자판에 관한 출판·전시·시연 활동을 이어 가지 못하고 있는 점을 매우 아쉽게 느낀다.

  그 동안 공병우 자판은 숱하게 배열이 바뀌어 왔지만, 아직도 그 계보에 마침표가 찍히지 않았다. 3-90 자판과 3-91 자판은 셈틀에서 공병우 자판을 세상에 널리 알린 배열이면서, 더 보완할 요소가 남아 있는 배열이기도 하다. 스마트폰과 같은 새로운 기기에도 맞추면서 공병우 자판의 완숙기에 어울리는 배열을 마련하여 표준화하는 일이 공병우 자판을 쓰고 가꾸려는 이들에게는 과제로 남아 있다. 새로 마련하는 배열이 이미 겪었던 시행착오를 되풀이하지 않게 하려면, 연구 단계에서 지난날에 쓰였던 배열들을 꼭 거울 삼을 필요가 있다.


참고한 자료

  • 공병우·정윤성, 〈새로운 타자 교본〉, 정음사, 1965·1975주1
  • 한글 기계화 표준 자판 확정에 따른 지시 (국무총리 훈련 제81호, 1969.7.28 제정, 1969.8.18 시행, 1985.5.30 폐지), http://www.law.go.kr/LSW/admRulInfoPWah.do?admRulSeq=10000049983
  • 황해용, 「한글 기계화와 표준 자판」, 과학기술 제2권 제3호(통권 제7호), 1969.9
  • 「소경들에게 자혜로운 선물 ―공 박사 “점자 한글 타자기” 개발로―」, 한글학회, 《한글 새소식》 제2호, 1972.10.5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한글 기계 글자판에 대한 심의 보고서〉, 1972
  • 정을병, 「문인용 타자기」, 《새가정》 1975년 5월호 (통권 제237호)
  • 공병우, 「한글과 Roma자 겸용 Baby 타자기의 개발」, 〈(제20회)과학전람회총람)〉, 1975
  • 「문장구성에 이용도 높아 - 문인 전용 타자기개발 보급」, 《경향신문》, 1976.4.26,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 강석호, 〈한글 타자기 자판에 관한 인간 공학적 비교 연구〉,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8
  • 「한글 기계화 시비 10년 타자기 글자판', 《동아일보》, 1978.10.9,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 정대철, 「한글 기계화의 현황과 방향」, 《입법조사월보》 통권 제113호, 1978.11
  • 한당욱·임종철, 〈대한 한글 타자〉, 동문사, 1981
  • 송현, 〈한글 기계화 운동〉, 인물연구소, 1984
  • 송현, 〈한글 자형학〉, 월간 디자인 출판부, 1985
  • 김숙자, 「조선글컴퓨터화를 위한 글자판 시안에 대하여」, 《조선어문》 1986년 제1호 3~6,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1986.3
  • 송현, 「군사 문화가 짓밟은 한글 기계화 정책」, 《샘이 깊은 물》 통권 제50호, 1988.12.
  • 김경석, 「한글 사전 편찬 전산화를 위한 터닦이:옛한글 가나다순 및 옛한글 자판」, 《교육한글》 제2호, 한글학회, 1989
  • 송현, 〈한글을 기계로 옳게 쓰기〉, 대원사, 1989
  • 장봉선, 〈한글 풀어쓰기 교본〉, 한풀문화사, 1989
  • 정내권, 「한글 입력기 홍두깨」, 《마이크로소프트웨어》 1990.1
  • 공병우, 〈나는 내 식대로 살아왔다〉, 대원사, 1989(초판 제1쇄, 삼정인쇄 박음)·1990(초판 제5쇄, 삼정인쇄 박음, 1990.11.20 발행)·1990(개정판 제2쇄, 고려서적주식회사 박음)
    (※ 1990년판의 글 내용과 쪽 번호를 인용함)
  • 이재혁, 「표준글자판 세벌식으로 정착 움직임」, 《한겨레신문》, 1990.3.1,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 안종혁, "순아래 자판 소개문(아래아한글 설정 파일 배포문)", 하이텔 자료실 (사본: 세벌위키 http://sebul.sarang.net/3/wiki.php/%EC%84%B8%EB%B2%8C%EC%8B%9D%EC%88%9C%EC%95%84%EB%9E%98)
  • 오한중, 「3-90 자판과 공병우 최종 자판의 비교」, 한글문화원, 1993.5.7
  • 한글문화원, "공병우 글자판 배열표", 1993.9.4
  • 안종혁, "한글 순 아랫글 자판 배열표", 하이텔 한글프로그래밍 동호회 자료실, 1993.4.2 (사본: http://bbs.pat.im/viewtopic.php?f=15&t=905)
  • 공병우, 『한글과 나 · 공병우』(소책자), 한글문화원, 1994.7.30
  • 김경석, 〈컴퓨터 속 한글 이야기〉, 영진출판사, 1995
  • 김창용, 「3벌식 표준/통일 제안 및 스크립트」(3벌식 개선 제안안), 하이텔 매킨토시 동호회 자료실, 1995.3.19 (사본: http://bbs.pat.im/viewtopic.php?f=15&t=931)
  • 신광조, 「가장 진보된 한글 자판」(신세벌식 자판 설명 및 배포 자료), 하이텔 한글프로그래밍 동호회 자료실, 1995.9.22 (사본: http://bbs.pat.im/viewtopic.php?f=15&t=906)
  • 한국전산원, 〈장애인의 정보통신서비스 이용활성화 방안 : 정보사회 촉진방안 연구사업〉, 1997.12
  • 장봉선, 「한글 사무 자동화의 발전사 - 한글 인쇄자동화와의 연혁 (3) -」, 《인쇄계》 2001.6. 통권 제320호
  • 박흥호, 「세벌식 390 자판이 나오게 된 사연」(http://www.hopark.me/?p=316), 호박 동네, 2003.1
  • 이용제, 「한글 기계화, 디자이너는 없었다」, 〈한글+한글 디자인+디자이너〉, 세미콜론, 2009.3.
  • 김국, 「한글 세벌식 자판의 세 가지 유형과 남북 통합 설계」, 《품질경영학회지》 제37권 제4호, 2009
  • 김태호, 「'가장 과학적인 문자'와 근대 기술의 충돌」, 《한국과학사학회지》 제33권 제3호, 2011.12
    (발췌문: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24692)
  • 팥알, 「[제안] 세벌식 3-2011 자판 (공병우 최종 자판 수정안 + 특수기호 확장안」(https://pat.im/855), 글걸이, 2011.12
  • 팥알, 「세벌식 3-2011 한 손가락 자판」(https://pat.im/905), 글걸이, 2012.4
  • 3번타자, 「[제안] 세벌식 3-90 자판과 세벌식 최종을 대체할 세벌식 통합을 제안합니다.」(http://cafe.daum.net/3bulsik/665N/81), 세벌식 사랑 모임, 2012.4
  • 팥알, 「세벌식 3-2011 옛한글 자판」(https://pat.im/908), 글걸이, 2012.5
  • 팥알, 「[제안] 세벌식 3-2012 자판 (3-90 수정안 + 옛한글/순아래 배열」(https://pat.im/938), 글걸이, 2012.7
  • 공병우, '쌍촛점 타자기' 특허 공보, 출원번호 10-1948-0000035 (1948.2.5), 공고번호 10-1949-0000022 (1949.6.24), 등록번호 1000000100000 (1949.11.30)
  • 공병우 (Pyung Woo Kong), 'Korean Typewriter' United States Patent 2625251 (공병우 한글 타자기 미국 특허), 1949.7.8 출원, 1953.1.13 공고 (https://www.google.com/patents/US2625251)
  • 공병우, '한영 타자기' 특허 공보, 출원번호 10-1966-0000946  (1966.11.23), 공고번호 10-1967-0000435 (1967.12.1), 등록번호 1000025690000 (1968.3.6)
  • 공병우, '한영 타자기' 특허 공보, 출원번호 10-1975-0000227 (1975.2.4), 공고번호 10-1975-0000331 (1976.11.11), 등록번호 1000052830000 (1976.11.11)
  • 공병우·이윤온, '선진후타(先進後打)식 한영 겸용 볼(ball) 타자기' 특허 공보, 출원번호 10-1975-0002599 (1975.11.28), 공고번호 10-1977-0000209 (1977.9.30), 등록번호 1000055860000 (1977.12.21)
  • 6.25 정전협정문 제1권 서명 부분, 위키문헌
  • 6.25 정전협정문 제2권 표지 부분, 용산 전쟁기념관 소장 자료
  • Yes0song, 박경남 신세벌식 자판 배열표 (http://commons.wikimedia.org/w/index.php?title=File:KB_Sinsebeolsik_PKN.svg, 고친 이: 팥알), 위키미디어 공용
  • 임갈밤, 박경남 수정 신세벌식 자판 배열표 (http://ko.wikipedia.org/wiki/%ED%8C%8C%EC%9D%BC:%EC%88%98%EC%A0%95%EC%8B%A0%EC%84%B8%EB%B2%8C%EC%8B%9Dgblim.png), 위키백과
  • 세종대왕기념관근현대디자인박물관에 전시된 타자기 실물과 자판 배열표
  • 장우영, 공병우 문장용 타자기 사진, doopedia Photo Community(http://www.doopedia.co.kr/photobox/comm/community.do?_method=view&GAL_IDX=101011000616283)
  • KBS1 TV쇼 진품명품 제678회 (2008.10.5 방송)
  • 한글학회 부설 한말글문화협회의 페이스북 누리집에 실린 공병우 자판 딱지 사진 (https://www.facebook.com/152507724845102/photos/a.276988375730369.58542.152507724845102/276988379063702)
  • 생생한 파주소식 - 파주알리미
  • 국립중앙박물관 e뮤지엄
차례
  • 5. 다섯째 세대 (1990년대~)
    • (1) 3-89 자판
    • (2) 3-90 자판
      • 1) 순아래 자판
      • 2) 3-93 옛한글 자판
    • (3) 3-91 자판 (공병우 최종 자판)
  • 6. 새로운 시도와 개선안
    • (1) 신세벌식 자판
    • (2) 김국 38 자판 (설계안)
    • (3) 3-90 자판과 3-91 자판의 통합안
    • (4) 3-2011 자판 (3-91 자판 수정안)
    • (5) 3-2012 자판 (3-90 자판 수정안)
  • 7. 맺음말
〈주석〉
  1. 〈새로운 타자 교본〉은 1965년판과 1972년판을 참고하였다. 이 책은 아직 타자기 표준 자판이 정해지지 않은 1960년대 초·중반 무렵의 상황을 기준으로 공병우식 한글 타자기 자판을 주로 소개하였다. 1972년판에는 1969년에 정부가 정한 한글 타자기 표준 자판(4벌 타자기, 2벌 인쇄 전신기, 4벌 인쇄 전신기)을 배열표와 함께 짤막하게 소개한 내용이 덧붙어 있고, 다른 내용들은 1965년판과 같다. back
글 걸기 주소 : 이 글에는 글을 걸 수 없습니다.

덧글을 달아 주세요

  1. 세벌 2012/09/28 20:34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공병우 타자기 종류가 많다고는 들었지만... 생각보다 더 많았나 보네요.
    그런데 이제는 중고 세벌식 타자기도 점점 보기 어려워지네요. 저는
    http://sebul.mireene.com/phpBB2/viewtopic.php?t=26
    에 보이는 것과 같은 타자기를 갖고 있지요.

    • 팥알 2012/09/28 23:36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정리해 보니 참 많긴 많네요.^^
      이 글들에 나온 배열이 40개 남짓인데, 수동 타자기에 실제로 쓰인 배열만 14개나 됩니다.
      문장용 타자기는 있는 줄만 알고 있어서 배열을 싣지 못했고, 어디선가 잠자고 있는 희귀종이 더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가지고 계신 한·영 타자기는 글에서 넷째 세대로 분류했는데, 이 계열이 공병우 타자기 가운데 가장 흔한 것 같습니다. 셋째 세대 한·영 타자기나 다섯째 세대 공병우 타자기는 매우 드물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