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명록 (GuestBook)

  1. 비밀방문자 2023/08/18 08:52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방명록입니다.

    • 팥알 2023/08/18 10:45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해당 프로그램의 이름이 인상 깊고 많은 생각을 하게 해서 글감으로 잡았었는데, 글 내용 때문에 상품에 좋지 않은 영향이 미쳤다면 죄송합니다.

      글을 올린 뜻은 '얼마에요 / 얼마예요' 가운데 어느 쪽이 반드시 맞고 반드시 틀리다는 것이 아니라, 경우를 잘 가려 썼다면 두 쪽 모두 맞을 수도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글 내용이 매끄럽지 못한 데가 보여서 상품 이름이 어법에 어긋나지 않게 쓰였을 것으로 여기면서 설명을 조금 다듬었고, 제품 사진은 뺐습니다.

      하지만 합당한 사유 없이 글 전체를 지울 수는 없는 점은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개인적으로는 귀사의 상품 소개란을 통하여 상품 이름에 어떤 뜻이 담겨 있는지를 설명해 주시면 더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해 왔습니다. 이미 오래 쓰인 이름이기도 하고 우리말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는 해당 상품 이름이 곱씹어 생각할 거리가 되기 좋습니다. 명쾌한 설명을 붙이면 사람들의 오해도 피하고 상식을 넓히는 계기도 되어서 좋을 것 같습니다.

    • 팥알 2023/08/18 11:24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격식 있는 설명만이 아니라 대화문에 가까운 홍보 문구로도 '얼마에요'가 담을 수 있는 융통성 있는 뜻을 알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에스퍼 2023/07/14 20:29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안녕하세요, 세벌식을 쓰기 시작한 지 두 달이 조금 넘은 고등학생입니다. 줄곧 두벌식 위주로 써오다가 세벌식의 두 표준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3-2012로 세벌식에 입문하게 되었습니다. 처음 쓸 때에 신세벌식의 동선 꼬임을 자주 느꼈고, 갈마들이 공세벌식을 익히는 데에도 약간의 장벽을 느꼈던 것이 3-2012로 시작하게 했던 까닭이었는데, 지금은 갈마들이 공세벌식들과 2012 사이에서 나름의 줄타기를 하고 있습니다. 이런 행복한 고민을 하게 해 주신 팥알 님께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신세벌식과 세모이를 비롯한 모아치기 자판이 세를 넓히고 있지만, 손가락을 넓게 쓰는 공세벌식의 안정감은 또한 포기하기 쉽지 않을 성싶습니다. (여전히 공세벌식을 쓰고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아울러 부수적인 장점이지만, 입력기를 커스텀하면서 얻게 된 기호 확장 배열이나 옛한글 배열이 비교적 단순한 것도 특별한 매력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 때문에 (공)세벌식에 관해서는 많은 생각을 하고 지냅니다. 공세벌식을 설계하신 일이 꽤 오래전으로 거슬러올라가는 듯하지만, 짧은 생각 몇 개에 대하여 답을 받을 수 있을까 해 올려 봅니다.

    - 공세벌식의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되는 ㅑ와 ㅖ의 위치는 이전에는 ㅣ+ㅏ, ㅣ+ㅔ의 오토마타로 불완전하게나마 해소할 수 있었지만, 갈마들이를 도입하면서 이 방법을 쓸 수 없게 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은 바가 있습니다. 이 점에 관하여, 반모음 ㅣ(/j/)의 기능을 반모음용 ㅗ/ㅜ에 합쳐 보는 방안이 어떨까 싶습니다.
    * 반모음 ㅣ는 음운적으로는 ㅑ, ㅕ, ㅛ, ㅠ, ㅒ, ㅖ를 만드는 데 쓰이는데, 이 중에서 위치가 특별히 문제가 되는 것은 ㅑ와 ㅖ(혹은 더 포함한다면 ㅛ와 ㅠ)입니다. 또 ㅒ는 윗글쇠를 써서 치는데, 반모음 ㅣ를 통하여 윗글쇠 없이 입력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ㅒ = 9t; ㅖ = /c, 9e; ㅑ = 9f (이상 우변은 영문 자판의 글쇠 위치)와 같은 식입니다.
    * 본래 ㅢ가 있던 위치를 (3-P 자판에서처럼) ㅡ로 한다면 반모음 ㅡ에도 이 기능을 넘길 수 있고, 입력 편의성이 어느 정도 보장될 것 같습니다.
    - 특수기호 확장은 ㅗ, ㅜ, ㅡ를 따로 세어 여섯(혹은 아홉) 개의 특수기호벌을 만들 수 있을 듯싶은데, 실제 사용에서 이 벌 수만큼의 문자를 활용할 일이 애초에 있는가 하는 의문이 들기는 합니다.

    공병우 박사 전기 정도로만 듣던 한글 자판 이야기를 풀어주시고, 타자생활을 편리하게 또 한번 해 주심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 팥알 2023/07/22 03:43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세벌식 자판에 대한 깊은 관심에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이제야 답글을 다는 점은 죄송합니다.

      말씀하신 대로 오른쪽 ㅗ · ㅜ를 여러 모로 더 활용할 수는 있습니다. 이런 조합 규칙도 생각해 볼 수 있겠습니다.

      [오른ㅗ] + ㅓ → ㅕ
      [오른ㅜ] + ㅏ → ㅑ

      [오른ㅗ] + ㅗ → ㅛ
      [오른ㅜ] + ㅜ → ㅠ

      [오른ㅜ] + ㅐ → ㅒ
      [오른ㅗ] + ㅔ → ㅖ

      이런 방식으로 오른쪽 ㅗ · ㅜ만으로 ㅑ ㅒ ㅕ ㅖ ㅛ ㅠ까지 넣을 방안이 나올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이런 조합 규칙은 개개인의 취향과 기억 편의에 따라 조금씩 다른 규칙으로 바꾸고 싶은 마음이 들기 쉽습니다. 요즈음에 보면 필요를 느끼는 사람도 원안을 고쳐서 쓰는 경우가 흔한 것 같습니다.

      공세벌식 자판은 여러 시대(?)에 걸쳐 쓰이다 보니 바라보는 관점이 참 다양합니다. 옛한글을 넣는 것처럼 컴퓨터 시대가 열린 뒤에 쓰이는 기능도 있습니다. 다양한 필요를 헤아려서 확장 기능을 쓰기 좋게 기본 배열을 잘 기획하는 일은 뜻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기본 배열의 결함을 조합 규칙으로 덮는 모양새가 되는 것은 씁쓸한 면이 있습니다.

  3. 정대환 2023/04/25 10:01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안녕하세요. 세벌식에 관심 있어서 처음 입문해보려고 하는 스물 중반의 학생입니다. 20여년동안 두벌식밖에 사용하지 않아 세벌식을 처음 공부해보려고 하는데 종류와 역사가 길어서 제가 고르기 어렵습니다.

    여기 글쓴이께서 2023년 현재 내가 세벌식에서 딱 하나만 사용하면 이걸 사용하겠다 라고 추천해주실 수 있는 자판이 있으신가요? 아니면 이걸 입문하고 나중에 이걸 사용해라 라고 할만한 자판을 추천 부탁드립니다.

    • 팥알 2023/04/25 14:16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저는 현재 쓰고 있고 쭉 다듬어 온 신세벌식 P2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하지만 미래는 아직 모릅니다. 아쉬운 데를 메울 방안이 혹시 나오면 개선안을 더 내놓을 수는 있습니다. 다만 배열을 자꾸 바꾸려면 저부터도 힘들므로, 배열 원칙과 목표를 잘 세우고 확장안을 따로 나누어서 기본 틀은 바꿀 수 있는 폭을 미리 좁혀 놓는 일에 신경을 써 왔습니다. 조금이라도 더 좋은 걸 쓰려는 욕심 때문에, 신세벌식 P2에 관한 개선책은 아끼지 않고 거의 바로 공개하고 있다고 보면 맞습니다.

      입력기 지원이 널리 잘 되는 것으로는 공세벌식인 3-90 자판이 기호 배열의 보편성이 높아서 입문용으로 낫습니다. 한글 배열이 아쉬운데, 그 점이 다른 대안으로 갈아탈 때에는 도움이 됩니다.

      3-91 자판(공병우 최종 자판)은 익히기 어렵고, 기호 배열이 너무 불편합니다. 오래 쓰면 기호와 겹받침 쪽에 특이한 취향이 자리잡습니다. 3-91 자판을 바로 익힌 사람은 다른 대안에 적응하는 일에 어려움을 더 느낄 수 있으므로, 3-91 자판을 입문용으로 쓰는 것은 반드시 피할 것을 권합니다.

      세벌식 자판이 종류가 많기는 하지만, 쓰는 사람이 꾸준히 나오고 있는 일반형 계열은 공세벌식 자판과 신세벌식 자판으로 좁혀집니다.

      신세벌식 자판은 윗글쇠를 적게 눌러 한글을 넣을 수 있는 것에 장점이 있습니다. 초보자가 적응하기 쉬운 꼴이고, 손이 불편한 사람까지 더 많은 사람이 쓸 수 있습니다. 어린이가 쓰는 것까지 헤아린다면, 3줄 한글 배열을 쓰는 신세벌식 자판에 관심을 두는 것이 바람직해 보입니다.

      그러나 신세벌식 자판을 쓸 준비가 된 한글 입력기가 아직 한정되어 있고, 왼손가락 피로도가 높아서 왼손 배열을 잘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높습니다. 미래를 개척해야 할 형편이긴 합니다.

      공세벌식 자판 쪽은 '갈마들이 공세벌식 자판'이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갈마들이 공세벌식 자판도 신세벌식 자판처럼 입력기 지원에서는 불리한 처지에 있습니다. 3-P3 자판과 3-P2 자판의 관계에서 볼 수 있듯이, 공세벌식 자판은 '첫가끝 갈마들이'를 쓰더라도 숫자 배열을 통합하지 못하는 문제가 아쉽습니다.

    • 정대환 2023/04/25 16:59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감사합니다. 의견 참고해서 잘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인지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세벌식에 대해 많은 노력 기울여 주심 감사합니다. 저도 세벌식 자판을 많이 알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4. 안녕하세요 2023/04/10 19:51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안녕하세요.

    텍스트큐브를 사용하고 있는 유저입니다. 제가 비밀번호 변경을 하는 과정에서 무엇을 잘 못 눌렀는지 설정한 비밀번호로 로그인이 안되고 있습니다. ㅠㅠ 예전에 제가 알기로는 어떤 파일을 삭제하면 다시금 설정을 할 수 있는걸로 알고 있는데..

    텍스트큐브 비밀번호 초기화 하는 방법 좀 부탁드릴게요ㅠㅠ

    • 팥알 2023/04/11 00:40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config.php 파일을 지우면 설치 화면이 나오긴 할 텐데, 자칫하면 싹 날리는 결과가 나올 수도 있으니 백업을 하고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수 있으면 tc_Users 테이블에서 password 값을 고치는 방법이 있습니다. 어떻게 고쳐야 하는지는 저도 잘은 모르니, 검색해서 하나하나 방법을 찾아 보시면 좋겠습니다.

  5. Tae song , HA 2023/01/14 03:30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안녕하세요.

    두벌식을 20 년 ………………… 사용중,
    한달 전부터 공병우님 391 로 입문해 연습 중인데요.
    100타 속도에 391자판이 이제 조금 익숙해지는데,
    4열 배열이 제게는 비효율적인 것 같아 신세벌 p2 로 바꾸려고 합니다.

    OS : Linux Mint 22.04 Cinnamon
    입력기 : Kime

     예를 들면

    안되네요 --> 안돟네요
    되 --> 돟
    돼 --> 돕
    화 --> 홒

    등 이중모음을 입력할수가 없습니다.
    kime 입력기 오동작일까요?
    답변 부탁 드립니다.

    • 팥알 2023/01/14 11:33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신세벌식 P2 자판에 관심을 기울여 주셔서 고맙습니다.

      제가 데스크톱용 리눅스를 요즘판은 미리 깔아놓은 게 없어서 지금 바로 확인하기는 어렵습니다.

      말씀해 주신 대로라면 신세벌식 자판의 타자법에 맞게 넣었다면 '첫가끝 갈마들이' 기능이 안 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만약 그렇다면 입력기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입력기를 다시 깔아 보아도 안 된다면 입력기 오류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공세벌식 3-91 자판을 쓰다가 바꾸셨다고 하시니 확인해 볼 거리가 있습니다. 신세벌식 자판에서는 ㅘ나 ㅝ 따위의 ㅗ · ㅜ를 오른손쪽에서 넣습니다. '되'와 '화'는 쿼티 기준으로 이렇게 넣어야 맞습니다.

      되 : u/d
      화 : m/f

      공세벌식 자판에서도 '되'를 u/d로 넣는 것이 원칙이지만, 첫가끝 갈마들이를 쓰지 않는 때에는 uvd로 넣어도 '되'가 들어갑니다. 이 때문에 쓰는 사람이 바른 타자법을 알아차리지 못하거나 편한 대로 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신세벌식 자판이나 갈마들이 공세벌식 자판에서는 겹홀소리에 들어가는 ㅗ · ㅜ를 넣는 방법을 지켜야 ㅘ · ㅝ 따위를 잘 넣을 수 있습니다.

      다만 신세벌식 P2 한정으로 ㅘ · ㅝ 따위를 첫소리 없이 홀소리만 따로 넣을 때에는 윗글쇠를 누른 채로 왼손 쪽 글쇠를 씁니다.

    • song 2023/01/14 11:59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이중모음 입력시 좌측키를 사용하면 외계어가 출현하고요.
      i o / 키 이용시 정상 출력됩니다.
      우측 키 (i o /) 를 이용한 첫가끝 갈마들이가 정석이군요.

      ex)

       m/f -> 화 (good)
       mvf -> 홒 (ng)

       jid -> 의 (good)
       jgd -> 읗 (ng)


      이렇게 입력하는 것이 맞는거군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6. 한가람 2022/07/29 15:15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엘리트교육과 평준화 교육을 모두 달성할수 있는 방법

    대학교를 평준화 한다.
    중학교에서 고등학교 진학할때
    무시험 진학 하듯이
    고등학교에서 대학교 진학할때도
    무시험 진학한다.


    경희대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카이스트 포항공대 중앙대
    서강대 한양대 이화여대는
    본고사를 쳐서 합격한 사람만
    입학할수 있다.

    수능시험은 폐지한다.

    국가예산으로 매년 1조를 써서
    위의 11개 대학은 등록금을
    무료로 해야 한다.

    본고사는 4월과 11월에 본다.
    (4월에 보는 본고사)
    경희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양대 성균관대 서강대

    (11월에 보는 본고사)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카이스트 포항공대

    4월1일 경희대
    4월6일 이화여대
    4월11일 중앙대
    4월16일 한양대
    4월21일 성균관대
    4월26일 서강대

    11월1일 서울대
    11월6일 연세대
    11월11일 고려대
    11월16일 카이스트
    11월21일 포핟공대

    고등학교에서 대학교 진학할때
    무시험 진학해도 공짜대학 갈려고
    죽어라 공부하기에 학력저하문제가
    생기지 않는다.전교조는 대학입학
    자격고사를 보자고 주장하지만
    난 그것도 반대다
    고등학교에서 대학교 진학할때는
    무시험 진학해야 한다.

    경희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양대 성균관대 서강대
    는 합격자 발표를
    5월10일에 한꺼번에 하고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포항공대 카이스트
    는 합격자 발표를
    12월10일에 한꺼번에 한다.

    원할경우 누구나 11개 대학의
    본고사를 모두 치를수 있다.

    대학입학자격고사를
    도입하는 대신에 공짜대학을
    만드는 것이다

  7. 세벌식사용자 2021/11/27 10:45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안녕하세요
    두벌식에서 세벌식으로 전향한 세벌식 사용자입니다.
    세벌식 이야기를 유튜브에서 보고 찾아왔습니다.
    https://youtu.be/Io8VSJMkWiM 보고

  8. 텍스트큐브사용자 2021/09/27 02:16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안녕하세요. 검색을 하다가 여기까지 오게되었습니다.
    예전에도 한번 질문을 드렸습니다. 표지 중 http://create74.com/tag/Thumbnail 를 쓰고 계시는데 이걸 제가 지금판에 맞게 수정할 능력이 되지 않습니다. ㅠㅠ
    혹시 사용하고 계시는 플러그인을 공유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만약 공유가 가능하다면 부탁드려도 될까요?
    염치없지만 부탁드립니다.

    • 팥알 2021/10/02 19:43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유지/보수 작업이 끝없이 이어질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인적으로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하여
      https://pat.im/1239 에 끼우개 고친 판을 공개했습니다.
      덧글에서 개인 정보는 가리겠습니다.

  9. 김벤젠 2021/02/11 02:58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안녕하세요? 평소 글걸이 님 블로그를 애독하는 사람입니다. 글을 남기는 건 처음입니다.
    Windows 10의 한컴입력기 두벌식에서 다음과 같은 버그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자음)(모음)(자음)(자음)(백스페이스)(모음)연쇄를 입력하면 Yi 문자(U+A000...U+A48F)가 출력됨.
    예시: ㅇㅏㄱㄱ(백스페이스)ㅏ 를 누르면 순차적으로 다음과 같이 출력됨.
    ㅇ > 아 > 악 > 앆 > 악 > 아ꀀ (결과물: 한글 음절 아 U+C544 + Yi 문자 U+A000)
    이 때 출력되는 Yi 문자는 백스페이스를 누르기 전 자모음들과는 관련이 없고 마지막 모음이 무엇이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ㅏ, ㅐ, ㅑ, ㅓ, ㅔ, ㅕ,... 순서대로 ꀀ ꀜ ꀸ ꁰ ꂌ ꂨ ... 가 출력됨, 이는 유니코드 평면상에서 28의 거리를 가진 등차수열에 배정되어 있습니다)
    한편, 모음을 한 번 더 입력하여 이중모음 ㅘ, ㅝ, ㅚ, ㅟ 등을 만들면 해당 Yi 문자는 사라집니다. (예: ㅇ > 아 > 악 > 앆 > 악 > 아ꃠ > 아ㅘ)
    UTF-8 인코딩과 한컴입력기의 어떤 메커니즘 사이에서 일어나는 굉장히 흥미로운 버그 같은데요. 혹시 이러한 현상이 왜 일어나는지 고견이 있으시다면 듣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팥알 2021/02/09 12:46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제가 한컴 제품을 구형판을 쓰고 있어서 지금은 한컴 입력기에서 실제로 그런 오류가 나는지는 확인을 하지 못합니다. 조만간 깔 일이 있을 것 같으니 그 때 다시 살펴 보겠습니다.

      우리가 가장 흔히 쓰고 있는 한글 부호계는 낱내자(음절자, 낱내 완성자) 단위로 한글을 나타내는 '완성형 방식'입니다. ꀀ 같은 문자는 나오는 것은 낱내자 부호값을 잘못 셈하여 나타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완성형 방식은 부호값을 낱내자 단위로 나타내므로, 부호값을 잘못 셈하면 낱내자가 통째로 엉뚱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조합형 방식(첫가끝 조합형)을 쓴다면, 오류가 낱자 단위로 보일 수 있습니다.

      https://pat.im/1183 (표준이 된 세벌식? - (3) 유니코드를 통한 요즘한글 부호계 표준화 작업)

      이 글의 표 12-1과 그 밑에 있는 공식이 잘못 적용되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 한글 완성자 부호값 = 44032 + 첫소리값×588 + 가운뎃소리값×28 + 끝소리값 ]

      한글 낱내 완성자가 U+AC00(가)부터 시작하고 ꀀ가 U+A000인데, ꀀ(U+A000) 등은 가(U+AC00) 등을 잘못 나타낸 것으로 보입니다.

      위 공식에서 반드시 0 이상이어야 할 낱자값이 음수로 잘못 들어갔을 수도 있고, 낱자를 지울 때(앆→악)에 입력기 내부에서 기억하는 낱자값이 잘못 바뀌었을 수도 있습니다. 홀소리에 따라 등차수열이 나타나는 걸 보면, 적어도 가운뎃소리(홀소리)값은 맞게 들어간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낱자를 지우면 처리 조건을 잘못 판단하는 오류가 있거나, 특정 처리 조건에서 더하는 값(44032)이 잘못 지정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다른 환경 요인이 있어서 일어났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예전에는 잘 되었더라도 운영체제 판이 바뀌면 한글 조합이나 표현이 잘 안 되어서 땜질해야 할 데가 생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거기까지는 제가 자세히 알 수 없습니다.

      아무튼 한컴 같은 기업이 주력으로 내놓는 제품의 입력기라면 오래 내버려 둬서는 아니 될 오류이긴 합니다.

  10. 전마머꼬 2020/11/26 12:53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뵙습니다.

    여울여울이라는 말을 검색하니 옥스포드 사전에서

    그 뜻과 [작은말]야울야울 이 적혀 있던데

    고등학교 다니면서 못 배운 체계인것 같아서 혹시 알고 계신가 해서 질문 드립니다.

    혹시 아실까요?

    • 팥알 2020/11/27 00:27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저는 여울여울과 야울야울은 들어 본 기억이 없습니다.
      하지만 어린이와 동화책 읽을 때 그런 말을 좀 길게 빼서 읽으면 느낌이 확 살 것 같습니다.

      현재 모음조화가 깨진 깡충깡충이 표준어이고 모음조화에 맞는 깡총깡총이 비표준어이지만, 저는 옛날에 녹음된 동요를 들어서인지 깡총깡총이 자연스럽고 깡충깡충이 어색하게 들립니다.
      그래서 그런지 야울야울보다는 야올야올이 느낌이 더 사는 것 같기도 합니다.

      동물 여우를 사투리로 여수, 야수, 여스, 야스, 여시, 야시라고도 부르는데, 말뜻에 관계 없이

      야울야울 - 야실야실(아슬아슬) - 야들야들

      이런 흐름을 떠올려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