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한글 입력기] 두벌식 자판으로 제주 사투리를 넣는 방안

  다음은 표준어에 쓰이는 한글 낱자들이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ᄀᅠ ᄁᅠ ᄂᅠ ᄃᅠ ᄄᅠ ᄅᅠ ᄆᅠ ᄇᅠ ᄈᅠ ᄉᅠ ᄊᅠ ᄋᅠ ᄌᅠ ᄍᅠ ᄎᅠ ᄏᅠ ᄐᅠ ᄑᅠ ᄒᅠ                
ᅟᅡ ᅟᅢ ᅟᅣ ᅟᅤ ᅟᅥ ᅟᅦ ᅟᅧ ᅟᅨ ᅟᅩ ᅟᅪ ᅟᅫ ᅟᅬ ᅟᅯ ᅟᅮ ᅟᅯ ᅟᅰ ᅟᅱ ᅟᅲ ᅟᅳ ᅟᅴ ᅟᅵ            
ᅟᅠᆨ ᅟᅠᆪ ᅟᅠᆩ ᅟᅠᆫ ᅟᅠᆬ ᅟᅠᆭ ᅟᅠᆮ ᅟᅠᆯ ᅟᅠᆰ ᅟᅠᆱ ᅟᅠᆲ ᅟᅠᆳ ᅟᅠᆴ ᅟᅠᆵ ᅟᅠᆶ ᅟᅠᆷ ᅟᅠᆸ ᅟᅠᆹ ᅟᅠᆺ ᅟᅠᆻ ᅟᅠᆼ ᅟᅠᆽ ᅟᅠᆾ ᅟᅠᆿ ᅟᅠᇀ ᅟᅠᇁ ᅟᅠᇂ

  이 67개 요즘낱자(첫소리 19개, 가운뎃소리 21개, 끝소리 27개)로 조합할 수 있는 요즘한글 낱내(음절) 완성자는 11172개이다. 세계 공통으로 쓰이는 문자 부호계인 '유니코드(unicode)'에는 11172개 한글 완성자가 등록되어 있다. 그래서 표준어는 유니코드의 완성형 한글 부호계를 써서 낱내 단위로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제주 사투리에 쓰이는 아래아(ㆍ)는 표준어에서 다루는 요즘낱자에 들어 있지 않다. 아래아가 들어간 한글 낱내는 완성형 한글 부호계로는 나타낼 수 없고, 낱자 단위로 조합해서 쓰는 첫가끝 부호계를 써서 나타낼 수 있다. 첫가끝 부호계는 주로 옛한글을 나타낼 때에 쓰이는데, 요즘낱자만으로 나타낼 수 없는 사투리를 적을 때에도 쓰인다.

  제주 사투리에서는 다음처럼 표준어에 없는 아래아(ㆍ)와 쌍아래아(ᅟᆢ)가 쓰인다.

  • ᄋᆢ망진 우리 ᄄᆞᆯ
  • ᄋᆢᇁ이 널찍ᄒᆞᆫ 마ᄎᆞ

  제주어 표기법 제2절 제9항에서는 "'ㆎ' 음은 'ㅔ' 소리로 변했으므로 'ㅔ'로 적는다."고 하여 본래 아래애(ㆎ)가 들어간 말인 'ᄎᆡ소'와 'ᄁᆡᄃᆞᆮ다'를 '체소'와 '께ᄃᆞᆮ다'로 적게 하였다. 요즈음의 표기법에는 ㆎ가 쓰이지는 않지만, 제주 사투리의 말밑을 밝히는 글을 쓰는 때에는 ㆎ가 필요할 수 있다.

  옛한글 자판은 요즘한글 자판보다 한글 조합 폭이 넓으므로, 옛한글 자판을 쓰면 모든 한글을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두벌식 옛한글 자판은 요즘한글 자판보다 다양하고 잦은 도깨비불을 볼 수 있고, 초성체나 그림 문자를 즐겨 쓰는 사람이 낯설고 부담스러울 수 있는 조합이 튀어 나올 수 있다. 이를테면 ㅜㅜ가 ᅟᆍ로 조합되거나 오타로 'ㅷ'이나 'ᅒᅠ' 같은 겹닿소리가 들어갈 수 있다. 이런 겹낱자들 가운데 호환 자모에 없는 것은 첫가끝 조합형으로 들어간다. 아직 많은 한글 입력기들이 뒷걸음쇠(백스페이스)로 첫가끝 조합형으로 넣은 한글을 지울 때에 낱내 단위가 아닌 낱자 단위로 지우고 있어서,주1 한글을 지우다가 찌꺼기로 남은 채움 문자가 뜻하지 않은 문제를 일으키곤 한다.

  그래서 아래아만 더해서 제주말을 가볍게 넣는 때에는 요즘한글 자판으로 쓰는 것이 편할 수 있다. 'ㅏ+ㅏ→ㆍ'로 조합하는 방법은 1990년대부터 'ᄒᆞᆫ글'을 통하여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런데 요즘한글 자판으로 쌍아래아(ᅟᆢ)는 바로 넣거나 조합하는 방법은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다.

  온라인 한글 입력기에서는 두벌식 옛한글 자판도 쓸 수 있게 하면서, 요즘한글 자판에서는 다음과 같은 조합 규칙을 더 넣어서 쌍아래아(ᅟᆢ)와 아래애(ㆎ)를 넣을 수 있게 하였다.

  • ㅏ+ㅏ → ㆍ
  • ㅣ+ㅣ → ᅟᆢ
  • ㅏ+ㅏ+ㅣ → ㆎ

  옛한글 자판에는 'ㅣ+ㅣ→ᅟퟄ' 규칙이 있기 때문에 위의 ㅣ+ㅣ 규칙은 요즘한글 자판에서만 쓸 수 있다. 옛한글 자판에서는 ㅏ+ㅏ+ㅏ로 쌍아래아(ᅟᆢ)를 넣을 수도 있지만, 아직은 모든 입력기에서 이 방법을 지원하지는 않고 있다.

  때때로 사투리에는 ㅯ이나 ᅟᅠᇬ 같은 겹받침이 나오기도 하는데, 이런 겹받침까지 넣으려면 옛한글 조합 기능이 들어간 한글 자판을 쓸 수밖에 없다.

  윈도와 리눅스에 쓰이는 많은 입력기들은 첫가끝 방식으로 들어간 한글을 뒷걸음쇠로 지우면 낱자 단위로 지운다. 하지만 온라인 한글 입력기에서는 첫가끝 조합형으로 넣은 한글도 완성형으로 넣은 것처럼 조합이 끝난 것은 뒷걸음쇠를 눌러 낱내 단위로 지울 수 있다.

온라인 한글 입력기와 두벌식 자판으로 제주 사투리 "ᄋᆢ망진 우리 ᄄᆞᆯ" 넣고 지우기
온라인 한글 입력기와 두벌식 자판으로 제주 사투리 "ᄋᆢ망진 우리 ᄄᆞᆯ" 넣고 지우기
〈주석〉
  1. del 글쇠로 지울 때에는 대체로 낱내 단위로 잘 지워진다. back
글 걸기 주소 : 이 글에는 글을 걸 수 없습니다.

덧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