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이후의 공세벌식 자판 개선안들 - (7) 3-891 자판

1) '공병우 자판'의 과도기와 3-891 자판

  1949년부터 나온 공세벌식 자판 배열들은 거의가 공세벌식 자판을 창안한 공병우가 배열 연구를 주도하여 만들어졌다. 소설가 정을병의 의견이 반영된 공병우 문장용 타자기 자판처럼 공병우가 아닌 다른 사람의 의견이 공세벌식 자판 배열에 반영된 사례는 있었지만, 줄곧 공세벌식 자판 배열을 마지막에 결정해 온 사람은 공병우였다. 그래서 그 무렵에 '공병우 자판'을 좁은 뜻으로 '공병우가 만든 자판'으로 풀이할 수 있었다.  한글 문화원의 연구원이었던 박흥호가 배열 연구를 주도한 3-89 자판3-90 자판이 좁은 뜻의 '공병우 자판'에서 벗어난 경우일 수 있지만, 3-89 자판과 3-90 자판도 한글 문화원의 원장 공병우의 검수는 거쳐 나왔다.

  공병우는 1990년대에도 매킨토시 환경에서 직결식 글꼴을 이용하는 한글 입출력 체계인 '공병우 직결식'을 쓰고 있었다. 3-90 자판은 겹받침 수를 줄인 것 때문에 '공병우 직결식'처럼 매우 간단한 직결식 처리로는 매킨토시 환경에서 쓸 수 없었다. 멈춤 글쇠(dead key)를 두고 '한 코드'를 써서 3-90 자판을 직결식에 가깝게 운용하는 방법이 있었지만, 그 무렵의 매킨토시 환경에서는 멈춤 글쇠로 넣은 낱자가 바로 보이지 않는 불편함이 있었다. (얽힌 글 : 표준이 된 세벌식? - (13) 매킨토시의 3-90 자판과 한 코드)

   '기종 간 한글 글자판 통일'도 3-90 자판으로는 이룰 수 없는 목표였다. 한글 조합 기능을 잘 구현한 프로그램에서는 3-90 자판이 잘 쓰일 수 있었지만, 타자기에서 겹받침을 넣는 문제를 따지면 3-90 자판은 기계식 타자기에 그대로 쓸 수 있는 꼴이 아니었다. 이미 한글 타자기 시장이 크게 힘을 잃어 가던 때에 타자기까지 헤아려 한글 자판을 만드는 일은 실속을 얻기 어려웠지만, 공세벌식 자판이 타자기에서부터 쓰인 기간이 길었던 것 때문에 공세벌식 자판을 쓰던 사람이 갑자기 타자기에서 아주 벗어나는 생각을 하기가 쉽지 않을 수 있었다.

  한글 문화원의 연구원을 지낸 박흥호의 다음 블로그 '호박 동네'에 공개되었던 글인 「세벌식 390 자판이 나오게 된 사연」에는 이런 내용이 있었다.

389 자판에서 한글 배열에만 신경을 쓴 나머지, 당시 대학생 동아리에서는 주로 컴퓨터 써클에서 세벌식 보급 운동에 많은 호응을 보였는데, 프로그래머들은 영문 타이핑을 늘 하게 되므로, 기호가 영문과 너무 많이 다른 389 글자판에 대한 보완 요청이 많았습니다. 프로그래머뿐만 아니라 세벌식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한글 자판만 익혀야 하는 것이 아니고 가끔 쓰는 기호나 숫자까지 사뭇 다른 389 자판에 커다란 거부감을 표시했으므로, 세벌식 보급에 적지 않은 걸림돌이 되었습니다.

저도 처음 만들어본 글자판 배열에, 커다란 한글 말뭉치(corpus) 데이터를 389 글자판 타이핑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통계를 내어 보니, 빈도와 운지거리 등에서 389 한글 배열을 보완할 부분이 있었습니다.

박사님께서도 1년 사이 여러 실험과 말뭉치 실험 결과 등을 통하여 새로운 글자판 배열을 만들고 계셨고, 박사님의 연구 결과는 곧 보급판으로 발표하려는 시점이었습니다.

저는 이제 막 컴퓨터를 사용하는 젊은 대학생들로부터 세벌식 보급 운동이 일어나고 있는 시점에서 한글 문화원의 세벌식 배열을 바꾼다는 것은 찬물을 끼얹는 결과가 될 것 같아 박사님께 당초 약속대로 보급용 배열을 바꾸지 말 것을 건의했지만, 저 역시 바꾸는 것이 길게 볼 때 낫겠다는 판단 때문에 결국은 박사님과 딱 한번 마지막으로 한글 문화원 공식 자판을 개선하기로 결론을 내렸습니다.

마지막으로 이번 딱 한번만 한글 문화원의 글자판 배열을 바꾼다는 결론에 세벌식 사용자들을 신뢰를 얻기 위하여 저의 사표를 걸고 발표한다고까지 했지만, 또다시 세벌식 배열을 바꾼 데 대한 불만과 앞으로 또 바꿀 건데 안 바꾸겠다는 등의 이견이 상당했습니다. 또한 당시 세벌식은 지금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소수의 사람만 사용하는 글자판이었으므로, 아래아 한글 개발팀이나 다른 프로그램 개발팀에게도 세벌식 자판 배열 추가를 설득하는 데 상당히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세벌식으로 전환하려던 사람들로부터 받은 우려는 말할 것도 없었구요.

박흥호, 「세벌식 390 자판이 나오게 된 사연」, 호박동네
(https://blog.daum.net/hopark/15415)주1

  이 글에 나오는 새로운 보급판의 마지막 결과물이 3-91 자판(공병우 최종 자판)이었다. 상세한 정보는 알 수 없지만, 3-89 자판이 나온 뒤부터 3-91 자판이 나올 때까지의 과도기에 연구되어 나온 공세벌식 배열들이 있었다. 3-891 자판이 그 가운데 하나였다.

  '3-891 자판'이라는 이름은 글쓴이가 먼저 올린 글인 표준이 된 세벌식? - (8) 초기 공병우 직결식에 쓰인 한글 부호계 ② - 3-891 자판, 3-91 자판에서 '3-89 자판과 3-91 자판의 중간형'이라는 뜻으로 붙인 이름이다.

  3-891 자판은 일반 보급용으로 알리고 보급한 이력이 없기 때문인지,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설명을 담은 자료는 찾을 수 없었다. 3-891 자판의 흔적은 한글판 매킨토시 운영체제(한글 시스템)에 3-91 자판을 지원하는 자료('세벌식 입력'과 제1/제2 공병우 직결식 글꼴)를 더 넣은 배포판인 '공 시스템'에 있었다. '공 시스템'에 3-891 자판으로 쓸 수 있는 제1 공병우 직결식 글꼴 Kong-000과 Kong-10-NNN-2이 끼어 있었는데, 이 글꼴들을 통하여 글쓴이가 3-891 자판의 세부 배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1 공병우 직결식 글꼴 Kong-10-NNN-2에 담긴 3-891 자판 (한글토크 시스템 6.0.7 키캡)
[그림 7-1] 제1 공병우 직결식 글꼴 Kong-10-NNN-2에 담긴 3-891 자판 (한글토크 시스템 6.0.7 키캡)

2) 3-891 자판의 배열 특징

3-87 자판  (매킨토시 직결식 배열)
[그림 7-2] 3-87 자판 (매킨토시 직결식 배열)
3-89 자판 (IBM-3-89)
[그림 7-3] 3-89 자판 (IBM-3-89)
[그림 7-4] 3-891 자판 (매킨토시 직결식 배열, Kong-10-NNN-2)
[그림 7-4] 3-891 자판 (매킨토시 직결식 배열, Kong-10-NNN-2)
3-90 자판 (IBM-3-90)
[그림 7-5] 3-90 자판 (IBM-3-90)

  3-891 자판은 3-89 / 3-90 / 3-91 자판 들의 배열 특징들이 섞여 있다.

  • 겹받침 배열 : 3-89 자판과 같음
  • 첫소리 ㅋ, 홀소리 ㅛ · ㅖ, 받침 ㅂ · ㅎ의 자리
    : 3-89 자판과 다르고, 3-90 및 3-91 자판과 같음
  • 숫자 배열
    : 2줄 (3-89 및 3-90 자판과 다르고, 3-91 자판과 같음)
  • 기호 배열
    • 짝이 없는 작은따옴표( ' )가 없음
    • < > ( ) ? ! - /과 열고 닫는 따옴표(“ ” ‘ ’)들의 자리에서 3-91 자판의 특징이 보임

  한글 배열은 3-891 자판이 3-89 자판과 연구 성과를 함께 누린 모습이 보이지만, 기호 배열에서는 3-89 자판과 결이 다른 모습을 볼 수 있다. 3-89 자판에는 쿼티 자판에 있는 기호들만 들어갔지만, 3-891 자판에는 참고표(※)와 열고 닫는 따옴표처럼 쿼티 자판에 없는 기호들이 기본 배열에 들어갔다.

  IBM PC 호환 기종에서만 쓰인 3-89 자판은 확장 배열이 없고 기본 배열만 있다. 3-89 자판은 모자라는 글쇠 자리에 쿼티 자판에 들어간 기호들을 되도록 많이 담으려 한 꼴이고, 쿼티 자판에 없는 기호는 들어가지 않았다.

  3-891 자판은 매킨토시 환경에서 선택 글쇠(option key)를 누르고 쓸 수 있는 확장 배열이 있었는데도, 쿼티 자판에 있는 몇몇 기호들(^ ` & _)은 들어가지 않았다. 기본 배열과 확장 배열에 쿼티 자판에 없는 기호들(※ ← ✓ □ 등)이 들어갔다. 3-891 자판은 쿼티 자판에 들어간 기호들을 다 챙기려고 애쓰지 않은 꼴이다.

  이런 점들로 미루어 보면, 3-891 자판은 3-89 자판의 후속판이라기보다 3-87 자판의 후속판으로 보는 것이 더 마땅해 보인다.

  3-891 자판의 숫자 배열이 2줄인 것은 3-87 자판과 다르다. 1960~1980년대의 공병우 타자기에 쓰인 공세벌식 자판들에서는 2줄 숫자 배열이 가장 흔히 쓰였는데, 컴퓨터용 배열에서는 처음에 3줄 숫자 배열이 쓰이다가 3-891 자판에서 2줄 숫자 배열이 다시 나왔다. 2줄 숫자 배열은 나중에 3-91 자판으로도 이어졌다.

3) 그밖의 과도기 공병우 자판 배열

아직 완성되지 않은 3-91 자판의 모습이 담긴 소책자 사진 (한글문화원 사진 자료) (1991.9.4)
[그림 7-6] 아직 완성되지 않은 3-91 자판의 모습이 담긴 소책자 사진 (한글문화원 사진 자료) (1991.9.4)

  그림 7-6은 2000년대에 문을 연 한글문화원(원장: 송현)의 그물누리집 자료실에 공개되었던 소책자 사진이다. 이 자료에 보이는 공세벌식 자판은 나중에 나온 3-91 자판과 매우 비슷하면서 겹받침 자리에 조금 달라보이는 데가 있다. 하지만 배열표가 어렴풋하여 정확한 배열은 알기 어렵다.

  3-891 자판과 그림 7-6에 보이는 자판 배열 말고도 공병우의 연구 과정에서 나온 공세벌식 자판이 더 있었을 것 같지만, 글쓴이가 그 동안 찾은 자료들을 통해서는 과도기에 나온 공세벌식 자판을 더 있는지를 확인할 수 없었다.

〈주석〉
  1. 다음 블로그 서비스가 문을 닫아서 이제는 이 주소에서 글을 볼 수 없다. back
글 걸기 주소 : 이 글에는 글을 걸 수 없습니다.

덧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