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이후의 공세벌식 자판 개선안들 - (11) 신세벌식 자판

1) 1995년에 나온 신세벌식 자판

  앞에서 살핀 3-95 자판안이 나온 1995년은 신세벌식 자판이 처음 공개된 때이기도 하다. 신세벌식 자판은 월간 《마이컴》 1995년 10월호에 실린 기사 「한글 자판에 대한 새로운 시도 : 신 3벌식 자판」주1을 통하여 공개되었다.
신세벌식 자판의 원리를 알린 《마이컴》 기사 (신광조, 「한글 자판에 대한 새로운 시도 '신 3벌식 자판', 《마이컴》, 1995.10.」
[그림 11-1] 신세벌식 자판의 원리를 알린 《마이컴》 기사

  '신세벌식 자판'의 '신'은 만든 사람인 '신광조'의 성(姓)인 신(申)에서 딴 것이다. 위에 보이는 《마이컴》 기사에서 신광조는 《마이컴》에 기고한 기사에서 신세벌식 자판을 구상한 동기와 신세벌식 자판의 입력 원리를 설명하였고, 어셈블리어로 짠 간이 입력 프로그램주2의 바탕 부호글 내용 일부를 기사에 함께 공개하였다.

신세벌식 자판 입력 원리를 구현한 어셈블리 프로그램 바탕 앞머리
[그림 11-2] 신세벌식 자판 입력 원리를 구현한 어셈블리 프로그램 바탕 앞머리

  신세벌식 자판이 널리 알려지는 계기가 된 정보는 월간 《마이컴》에 실린 기사가 아니라 PC 통신망에 올라온 자료 파일이었다. 신세벌식 자판을 소개한 월간 《마이컴》의 기사는 2010년대 중반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다. 신광조는 1995년 9월 22일에 PC 통신망 '하이텔'의 '한글 프로그램 동호회'의 자료실에 마이컴 기사 내용을 간추린 설명문과 간이 프로그램 자료를 압축 파일로 묶어 올렸다.주3 주4

신세벌식 자판 원안 배열표 (1995, 신광조)
[그림 11-3] 신세벌식 자판 원안 배열표 (1995, 신광조)

  신세벌식 자판의 글쇠 하나에는 벌이 다른 한글 낱자가 2개까지 들어갈 수 있다.주5 한글을 넣는 차례에 맞추어 같은 글쇠에 들어간 두 낱자 가운데 하나가 들어가게 하여 윗글쇠를 누르지 않고 모아쓰는 한글을 넣는 '첫가끝 갈마들이'라는 입력 방식이 쓰인다. '첫가끝 갈마들이'는 신세벌식 자판의 알맹이라고 할 수 있는 중요한 특징이다.

  공세벌식 자판은 컴퓨터 환경에서 표준 두벌식 자판보다 윗글쇠(Shift)를 더 적게 누르지만, 그것은 홀소리 ㅖ와 받침 ㅆ에서 힘입은 바가 크다. 이 두 낱자들을 셈하지 않으면 두벌식 자판이 윗글쇠를 적게 누르는 때도 있을 만큼 차이가 크지 않다.

  윗글쇠를 누르고 넣는 낱자의 종류는 공세벌식 자판이 표준 두벌식 자판보다 많다.

  한글 낱자가
든 글쇠 수
배열에 들어가는
한글 낱자 수
한글 모아쓰기를 할 때
윗글쇠를 누르고 넣는 낱자
두벌식 자판 26개
  • 첫소리 14개
  • 홀소리 14개
33개
  • 닿소리 ㄲ · ㄸ · ㅃ · ㅆ · ㅉ
  • 홀소리 ㅒ · ㅖ
(7개)
공세벌식 자판 39개
  • 첫소리 14개
  • 홀소리 17개주6
  • 홑받침 9개
  • 겹받침 21~27개
52~58개 홀소리 ㅒ
받침 ㄷ · ㅈ · ㅊ · ㅋ · ㅌ · ㅍ
겹받침 ㄲ · ㄶ · ㄺ · ㄻ · ㅀ · ㅄ 등
(13개 이상)
신세벌식 자판 29개
  • 첫소리 14개
  • 홀소리 17개주7
  • 끝소리 15개
46개 없음

  그런데 신세벌식 자판은 윗글쇠를 아예 누르지 않고도 모아쓰는 한글을 넣을 수 있다.주8 공세벌식 자판으로 윗글쇠를 누르지 않고 한글을 넣으려면 안종혁 순아래 자판처럼 배열을 따로 만들어야 했지만, 신세벌식 자판은 처음부터 순아래 자판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주9 한글 낱자들이 3줄 글쇠에 들어가면서 윗글쇠를 쓰지 않고 모아쓰는 한글을 넣을 수 있는 것은 공세벌식 자판의 틀로 생각하지 못했던 혁신이었다.

신세벌식 자판(1995 원안)과 3-90  자판으로 '있습니다' 넣기
[그림 11-4] 신세벌식 자판(1995 원안)과 3-90 자판으로 '있습니다' 넣기

그림 : 1995년에 처음 제안된 신세벌식 자판의 배열 방식과 입력 규칙 (https://pat.im/1104)

  3-90 자판의 장점인 영문 쿼티 자판과의 연계를 따지더라도 신세벌식 자판은 3-90 자판를 뛰어넘는 꼴이다. 신세벌식 자판은 영문 쿼티 자판의 숫자를 그대로 쓸 수 있고, 영문 자판과 자리가 다른 기호 수가 3-90 자판보다 적다.

  영문 자판과 자리가 다른 기호
3-90 ! / < > ' ;
(6개)
신세벌식 자판
(1995)
/ ' ;
(3개)

  3-90 자판보다 영문 자판과 자리가 같은 기호가 더 많은 것은 신세벌식 자판을 3-90 자판의 설계 의도를 이어 가는 개선안으로 볼 수 있게 하는 모습이었다. 공세벌식 자판의 2줄/3줄 숫자 배열에 얽힌 문제가 신세벌식 자판에서는 걸리지 않는 것도 눈여겨 볼 수 있는 모습이었다.

2) 개인들이 기반을 다져 나간 신세벌식 자판

  3-95 자판안과 신세벌식 자판은 같은 해에 나왔지만, 그 뒤의 보급 상황은 달랐다. 사람들의 관심을 받지 못한 3-95 자판안과 달리, 신세벌식 자판은 조금씩 사람들에게 알려지고 실제로 쓰이는 세벌식 자판의 부류로 자리잡았다. 신세벌식 자판도 처음에는 정식으로 쓸 수 있는 입력 도구가 없었지만, 윈도우나 리눅스를 비롯한 그래픽 기반 운영체제 환경에서 쓸 수 있는 입력 수단이 나온 덕분에 실사용자가 조금씩 늘 수 있었다.

아래아한글 2.5과 신세벌식 입력 변환기로 문장 넣기
[그림 11-5] 아래아한글 2.5과 신세벌식 입력 변환기로 문장 넣기 (움직그림)

  처음에 신세벌식 자판을 쓸 수 있게 해 준 입력 수단은 1995년에 신세벌식 자판이 처음 공개될 때에 함께 배포된 어셈블리어로 짜인 입력 변환 프로그램(SHIN3.COM 및 SHIN3T.COM)이었다. 간이 방식이라고 할 수 있는 이 변환 프로그램은 표준 두벌식 자판을 쓰는 도스(DOS) 환경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신세벌식 자판의 배열에 맞게 글쇠와 대응하는 부호값을 바꾸어 주는 구실을 했다.

글쇠 자리마다 조건식을 넣어 한글 자판을 구현할 수 있는 날개셋 한글 입력기
[그림 11-6] 글쇠 자리마다 조건식을 넣어 한글 자판을 구현할 수 있는 날개셋 한글 입력기

  윈도우 환경에서 신세벌식 자판이 널리 쓰일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 준 입력 프로그램은 날개셋이었다. 날개셋은 프로그램 개발을 직접 하지 못하는 사람도 글쇠 자리마다 조건문이 들어갈 수도 있는 글쇠값이나 수식을 넣어서 다양한 한글 자판을 구현할 수 있게 해 준다. 신세벌식 자판의 첫가끝 갈마들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들을 미리 갖춘 날개셋 덕분에 변칙을 쓰는 간이 방식이 아닌 제대로 틀이 잡힌 한글 입력기를 통하여 신세벌식 자판이 쓰일 기회가 마련되었다.

  리눅스를 비롯한 비주류 운영체제 환경에서는 3beol판 libhangul이 신세벌식 자판이 널리 쓰일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일을 주도했다. libhangul은 한글 입력기에서 공통으로 필요로 할 수 있는 한글 자판의 배열/조합 정보와 한글 관련 처리 기능을 담은 프로그램 라이브러리이다. libhangul 정식판에는 신세벌식 자판의 알맹이인 첫가끝 갈마들이를 구현하는 기능이 들어가지 않고 있지만, 정식판의 수정판/확장판 성격으로 개발되는 3beol판 libhangul에 신세벌식 자판에서 필요로 하는 입력 기능들이 들어갔다. 이 3beol판 libhangul을 이용하여 리눅스에 쓰이는 입력기(ibus-hangul, scim-hangul, 나비, fcitx 등)나 매킨토시에서 쓰이는 입력기(구름 입력기 등)에서 신세벌식 자판이 쓰일 수 있었다.

우분투 한국 커뮤니티에 올라왔던 3beol판 libhangul 관련 글타래
[그림 11-7] 우분투 한국 커뮤니티에 올라왔던 3beol판 libhangul 관련 글타래

  아래는 초창기부터 오늘날까지 신세벌식 자판을 쓰는 데에 걸림돌이 되거나 어려움을 줄 수 있었던 문제들이다.

  • 신세벌식 자판을 지원하지는 않는 한글 입력 도구들이 많음
    (쓰고 싶어도 입력 도구가 마땅하지 않아서 쓰지 못하는 경우가 있음)
  • 공세벌식 자판을 쓰던 사람은 신세벌식 자판의 특성이 담긴 아래의 기능 및 배열 요소에 적응하는 시간이 걸림
    • 첫가끝 갈마들이
    • 홑받침으로 겹받침 조합하기
    • 공세벌식 자판과 다른 ㅑ · ㅛ · ㅠ 등의 자리
  • 공세벌식 자판에 없는 타자 동작에 적응하기
    • 더 잦은 거듭치기로 2째 손가락(검지)의 피로도가 더 높음
    • 4째 · 5째 손가락을 쓰는 타자 동작이 잦음
    • 윗글쇠를 누르지 않아 손가락을 쉴 틈이 없는 것 때문에 피로도가 더 높음

  그 동안 신세벌식 자판을 익힌 사람들은 공세벌식 자판을 먼저 쓰다가 넘어온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공세벌식 자판과의 상대적인 비교 우위가 신세벌식 자판을 쓰는 까닭이 되기 쉬웠다.

  공세벌식 자판은 손가락을 거듭 쓰는 때가 적을 수밖에 없는 배열 짜임새인 데다가 윗글쇠를 누르는 동작에서 손가락을 쉴 틈이 생겨서 피로가 풀릴 수 있다. 하지만 신세벌식 자판은 배열 짜임새 때문에 몇몇 손가락에 피로가 몰릴 수 있어서, 한글 배열을 잘못 조율하면 손가락 피로도가 견딜 수 없게 커질 수도 있다.

  신세벌식 자판을 지원하는 입력 도구가 흔하지 않은 것도 신세벌식 자판을 업무와 일상에서 쓰고 싶어 하는 사람들을 괴롭혀 왔다. 날개셋을 쓸 수 있는 윈도우 환경은 그래도 낫지만, 리눅스 · 매킨토시나 안드로이드 · iOS처럼 비주류로 여겨지거나 이동식 기기에 쓰이는 운영체제 환경에서는 오늘날까지도 신세벌식 자판을 쓰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꽤 있다. 나중에 바뀌는 운영체제 및 프로그램 개발 환경 때문에 이미 개발된 입력 도구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때가 생길 수 있으므로, 한글 입력 도구는 한 번 만들어지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유지 · 보수 작업이 더 이어져야 할 수 있는 것에서 어려움이 더 있다.

  윗글쇠를 쓰지 않는 신세벌식 자판의 시원시원한 한글 타자 동작은 여느 한글 자판에서도 맛보지 못하던 매력이다. 그 매력을 일찍 눈치 챈 선구자들의 노력이 모인 덕분에 신세벌식 자판이 널리 알려질 기회를 얻고 널리 쓰일 기반이 조금씩 마련될 수 있었다. 공세벌식 자판은 한때라도 '한글 문화원'이라는 뚜렷한 구심점이 있었고 ᄒᆞᆫ글과 윈도우의 도움을 받아 왔다. 하지만 신세벌식 자판은 단체나 기업의 도움을 얻지 못하고 관심 있는 개인들끼리 교류하고 힘을 모아 기반을 닦고 지지층을 키워 나간 경우였다. 그래서 신세벌식 자판의 가능성이나 잠재력에 비해서는 널리 알려지고 프로그램 지원을 얻는 것이 더딘 편이었다.

3) 신세벌식 자판과 공세벌식 자판의 관계?

  신세벌식 자판은 한글 배열이 공세벌식 자판과 비슷한 데가 많다. 공세벌식 자판을 익숙하게 쓰던 사람이 신세벌식 자판을 처음 쓰려고 한다면, 자리가 다른 몇몇 낱자들 때문에 머뭇거릴 수는 있지만 자리가 같은 낱자들이 많아서 꽤 빠른 속도로 한글을 넣을 수 있다.

  하지만 자세히 뜯어보면, 신세벌식 자판과 공세벌식 자판의 다른 특징들을 볼 수 있다. 신세벌식 자판의 홀소리와 받침의 자리는 공세벌식 자판과 견주면 대체로 뒤바뀌어 있다. 한글 낱자가 들어가는 차례를 이용하는 '첫가끝 갈마들이'도 한때는 공세벌식 자판에는 쓰이지 않고 신세벌식 자판에서만 쓰이던 한글 입력 기능이다.

  둘 다 '세벌식 자판'에 넣을 수는 있지만, 신세벌식 자판을 공세벌식 자판과 같은 종류라고 하기에는 어색하다. 세부 배열과 배열 방식의 비슷하면서도 다른 면 때문에 손과 손가락의 피로도를 좌우하는 타자 동작의 특징이 다르다. 한글 배열이 비슷하여 서로 바꾸어 쓰기가 수월한 편이더라도, 서로 다른 면에 완전히 적응하기까지의 시간과 노력이 생각보다 더 들 수 있다. 이어지던 글들에서 공세벌식 자판의 개선안들을 쭉 이야기하다가 이 글에서는 온통 신세벌식 자판을 이야기하는 것도 의아한 느낌이 들 수 있는데, 보수적인 시각이 더 자리잡았던 지난날이었다면 그런 느낌이 더욱 강하게 들 수 있었다.

  한글 · 기호 · 숫자 배열을 살피면, 신세벌식 자판은 공세벌식 자판 가운데 특히 3-90 자판의 개선안임이 틀림없다. 영문 자판의 기호 · 숫자 배열을 되도록 그대로 쓰고자 한 목표는 신세벌식 자판이 초기판에서부터 3-90 자판보다 훌륭하게 이루었다. 겹받침을 줄여 더 익히기 쉬운 한글 배열이 된 것도 3-90 자판을 넘어선 모습이다. 첫가끝 갈마들이를 쓰는 입력 방식에서의 다른 특징도 윗글쇠를 누르지 않고 3줄 한글 배열을 쓰게 하는 혁신으로 이어졌다. 배열과 입력 방식에서 드러나는 편의와 실용성을 따지면, 신세벌식 자판은 1995년에 원안이 나왔을 때부터 공세벌식 자판에 대한 개선안 성격을 띠어 왔다.

  그럼에도 신세벌식 자판은 관심이 모이는 속도가 더뎠다. 출판물이나 언론 매체를 통하여 정보가 퍼지는 기회를 잡지 못했고, 공세벌식 자판보다 입력기 지원이 미흡한 문제가 겹친 탓이 있었다. 필요와 쓸모에는 공감하면서도 '첫가끝 갈마들이'를 공세벌식 자판과 동떨어진 특징으로 여기던 고정관념도 영향이 없지 않았다. 윗글쇠를 쓰지 않는 것 때문에 더 늘어날 수 있는 신세벌식 자판의 손가락 피로를 줄이는 배열 수정 작업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이기도 했다. 이런 점들은 공세벌식 자판을 쓰던 사람들이 마음 속으로는 신세벌식 자판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더라도 실제로 쓰는 한글 자판으로서는 신세벌식 자판에 얼른 다가가지 못하는 까닭이 될 수 있었다.

  2010년대에부터는 공세벌식 자판도 첫가끝 갈마들이를 받아들인 융합형(갈마들이 공세벌식)이 나오기 시작했고, 신세벌식 자판 쪽에서도 공세벌식 자판과 영향을 더 많이 주고받으며 배열을 다듬는 작업이 더 활발히 벌어졌다. 2000년대까지의 공세벌식 자판과 신세벌식 자판은 가깝지만 거리감도 있었는데, 2010년대부터는 양다리를 걸친 사람도 늘고 연구 방향을 서로 참고하기도 하며 경계가 흐릿해지는 분위기도 돌고 있다.

4) 신세벌식 자판의 약점과 과제

(2024. 1. 31에 더하여 넣음)

  2000년대에 날개셋을 통하여 가장 흔히 쓰인 신세벌식 자판은 그림 11-7에 보이는 '박경남 수정 신세벌식 자판'이었다. 1995년의 신세벌식 자판 원안(그림 11-3) 원안은 2000년대에 박경남 수정 신세벌식 자판보다 잘 쓰이지 않았다.주10

박경남 수정 신세벌식 자판
[그림 11-8] 박경남 수정 신세벌식 자판

  1995년의 신세벌식 자판 원안은 받침 ㅆ이 편하지 않은 자리에 있는 것이 가장 큰 약점이었다. 공세벌식 자판에서 받침 ㅆ를 따로 둔 효과가 큰 것을 헤아린다면, 받침 ㅆ은 신세벌식 자판에서 너무 소홀히 다룰 만 한 배열 요소는 아니다. 하지만 원안에서는 쿼티 배열 기준으로 받침 ㅆ이 B 자리에 들어가 있어서 너무 바깥쪽에 치우쳐 보이는 자리에 있다.

  박경남 수정 신세벌식 자판은 얼핏 보면 원안보다 받침 ㅆ의 자리가 나아 보이지만, 실은 받침 ㅆ이 더 나쁜 자리에 있다. '갔다', 왔었다' 같은 말을 넣을 때에 퀴티 기준으로 F 자리를 거듭 누르는 것은 같은 손가락으로 다른 자리를 거듭 누르는 것보다 손가락 피로도가 더 크기 때문이다.

  공세벌식 자판은 배열의 짜임새 덕분에 같은 손가락을 거듭 쓰거나 같은 자리를 거듭 누르는 거듭치기가 적게 일어난다. 그래서 공세벌식 자판은 여러 한글 자판들 가운데 특히 왼손에서 일어나는 거듭치기(연타)가 적어서 왼손가락들의 피로도가 유난히 낮다. 그런데 이 점이 오히려 공세벌식 자판을 쓰다가 신세벌식 자판의 배열 연구에 뛰어든 사람이 잘못된 판단을 하는 원인이 되곤 한다. 공세벌식 자판을 쓰는 때에는 거의 겪지 않는 거듭치기가 얼마나 괴로운 타자 동작인지를 깊이 깨달을 기회가 적으므로, 신세벌식 자판에서 더 많이 일어나는 거듭치기를 가볍게 여길 수 있기 때문이다.

  신세벌식 자판에서 손가락 피로도가 높은 곳은 홀소리와 받침이 들어가는 왼손 자리이고, 그 가운데 가장 피로도가 높은 손가락은 2째 손가락(집게 손가락)이다. 받침 ㅆ을 보면, 1995년에 나온 신세벌식 자판의 원안은 받침 ㅆ이 편의가 떨어지는자리에 있었으나 손가락 피로도가 가장 나쁜 경우는 아니었고, 2000년대에 나온 박경남 수정 신세벌식 자판은 받침 ㅆ 자리가 더 좋아 보일 수 있으나 왼손 2째 손가락의 피로도를 가장 높힐 수 있는 자리였다.

  신세벌식 자판에서는 받침 ㅆ만이 아니라 다른 받침들도 홀소리와 받침이 같은 글쇠 영역에 들어가는 것 때문에 왼손가락들의 거듭치기가 공세벌식 자판보다 잦다. 특히 제자리(같은 글쇠 자리) 거듭치기가 쓰는 사람이 견디지 못할 만큼 자주 일어나면, 손가락 피로 때문에 그 신세벌식 자판 배열을 쓰기를 포기하는 사람이 생기기도 한다. 그래서 손가락 피로도가 너무 높지 않게 신세벌식 자판의 홀소리와 받침이 들어가는 왼손 배열을 잘 조율하는 일이 중요한데, 그런 점에서 박경남 수정 신세벌식 자판은 받침 ㅆ 자리는 개선해야 할 요소였다.

  1990년대 초반의 공세벌식 자판처럼 2000년대까지의 신세벌식 자판도 쓰는 사람들이 이제 막 늘어나는 단계에 있었다. 공세벌식 자판은 4줄 한글 배열에서 홀소리와 받침을 이어서 칠 때에 거듭치기가 적게 일어나므로, 홀소리와 받침의 자리를 바꿀 때에 걸리는 문제가 적다. 하지만 신세벌식 자판은 더 좁은 3줄 한글 배열에서 홀소리와 받침이 함께 얽히는 것 때문에 큰 결함이 없는 배열안을 건져 내기가 생각보다 쉽지 않다. 신세벌식 자판의 왼손가락 피로도를 줄이는 일은 2010년대 이후에도 더 필요한 일이었는데, 공세벌식 자판과 마찬가지로 신세벌식 자판도 쓰는 사람과 연구하는 사람이 늘고 정보와 경험이 쌓일수록 개선 방안이 더 나올 수 있었다.

〈주석〉
  1. 신광조, 「한글 자판에 대한 새로운 시도 : 신 3벌식 자판」, 민컴, 《마이컴》 통권 제144호, 1995.9.25. back
  2. 신세벌식 자판을 구현한 간이 입력 프로그램은 독립해서 쓸 수 있는 입력 프로그램이 아니고, KS X 5002(옛 KS C 5715)을 따르는 표준 두벌식 자판을 쓸 수 있는 도스 프로그램에서 두벌식 자판을 쓰는 상태에서 신세벌식 자판을 쓸 수 있게 입력값을 바꾸어 주는 구실을 했다. back
  3. 이 압축 파일과 설명문 내용을 https://bbs.pat.im/viewtopic.php?t=906에서 보거나 받을 수 있다. back
  4. 월간지에 기사를 보내고 월간지가 발행되는 데에 걸리는 시간 때문에 월간 《마이컴》의 기사가 동호회 자료실에 올라온 파일보다 먼저 만들어졌을 것은 틀림없지만, 일반인들의 입장에서는 하이텔 동호회에 올라온 자료가 신세벌식 자판을 조금이라도 더 일찍 접할 수 있게 해 준 정보 원천이었다. back
  5. 3벌식 자판의 '3벌'은 첫소리 낱자 1벌과 가운뎃소리 낱자 1벌과 끝소리 낱자 1벌을 가리킨다. back
  6. 조합용 ㅗ · ㅜ와 ㅢ가 들어감 back
  7. 조합용 ㅗ · ㅜ 와 ㅢ(또는 조합용 ㅡ)가 들어감 back
  8. 다만 홀소리 낱자만 따로 넣을 때에는 윗글쇠를 누르고 넣는다. back
  9. 다만 안종혁 순아래 자판은 홀소리 낱자를 넣을 때까지도 윗글쇠를 누르지 않을 수 있는 것이 신세벌식 자판과 다르다. back
  10. 글쓴이는 박경남 수정 신세벌식 자판를 2000년대 후반 무렵에야 웹에서 알려지는 정보와 날개셋에 들어간 설정 파일과 위키피디아에 올라온 배열표 등을 통해서 접했다. 2003년에 어떤 경로(웹? PC 통신? 출판물?)로 박경남 수정 신세벌식 자판(또는 박경남 신세벌식 자판) 자판이 제안되었는지 글쓴이는 궁금하지만, 원전으로 볼 수 있는 자료는 찾지 못했다. back
글 걸기 주소 : 이 글에는 글을 걸 수 없습니다.

덧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