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자판/세벌식 일반2018/05/30 20:55by 팥알※ 세벌식 사랑 모임(http://cafe.daum.net/3bulsik/JMKX/167)에 올린 글입니다. 예전에 제가 http://cafe.daum.net/3bulsik/JMKX/7에서 '갈마들이 타자법'라는 말을 제안한 적이 있습니다. 1995년에 신광조(블롬달) 님께서 창안한 신세벌식 자판의 독특한 한글 입력 기술을 가리키는 말이 마땅하지 않아서, 한글문화원 314 자판안 제안 문서에서는 임시로 '반자동 타자법'으로 일컫고 적당한 용어가 있으면 대체하자고...
온라인 한글 입력기에 처음 넣은 풀어쓰기 방식은 '바로 풀기'이다. 두벌식 자판을 쓸 때에는 바로 푸는 풀어쓰기가 나쁘지 않을 수 있지만, 갈마들이 세벌식 자판이나 모아치기 자판은 특이한 한글 조합 처리 때문에 바로 푸는 풀어쓰기를 하려면 평소와 다른 타자법으로 써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한글 조합을 바로 풀지 않는 풀어쓰기 방식을 더하여 넣었다. 한글 조합 처리를 거치는 풀어쓰기를 하면 더 다양한 기능...
앞에 올린 글 「웹에서 맛보는 모아치기 세벌식 자판 (온라인 한글 입력기)」(https://pat.im/1109)에서 온라인 한글 입력기(http://ohi.pat.im)로 구현한 모아치기 자판의 입력 유형을 설명한 적이 있다. 그 글에서는 일반 글쇠를 쓰는 모아치기 자판의 입력 유형을 이야기하였고, 윗글쇠를 쓰는 모아치기는 헤아리지 않았다. 윗글쇠(시프트, Shift)는 어떤 글쇠판이든 모아치기에 기본으로 쓰일 수 있는 글쇠들과 조금 떨...
(위 그림에 나온 글 주소 : http://cafe.daum.net/3bulsik/623N/283) 다음 카페의 한글 인코딩 방식이 EUC-KR에서 '유니코드(UTF-8)'로 바뀌었다. 며칠 앞서 카페 점검한때를 알리는 안내문을 보았던 것 같은데, 그 때부터 바뀌었는지는 모르겠다. 처음의 EUC-KR은 KS 완성형 부호계에 들어간 한글 2350자만 나타낼 수 있었지만, CP949(확장 완성형)으로 EUC-KR을 확장 처리하여 KS 완성형에 없던 '똠'이나 '펲' 같은...
AFilmBy 님이 제안하신 기호 배열 수정 방안에 바탕하여 신세벌식 P2 자판(https://pat.im/1136)의 몇몇 기호들의 자리를 바꾸고 몇몇 배열 요소들을 바꾸었습니다. 바꾼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난 3월 17일에 예고한 내용과 같습니다.) 기호 3개( " · ; )의 자리를 바꿈 말줄임표(…)를 넣음 오른쪽 윗글 자리에 따로 있던 홀소리 ㅡ, ㅜ, ㆍ를 뺌 (오른쪽 ㅡ, ㅜ가 있던 자리는 사용자 정의로 필요한 기호를 넣거나...
※ 이 글은 2018년 3월 11일에 세벌식 사랑 모임에 올린 글입니다. (http://cafe.daum.net/3bulsik/JMKX/163) ※ 다른 문제가 없다면 4월 10일쯤에 수정안을 확정하여 신세벌식 P2 자판을 제안한 글(https://pat.im/1136)에 고친 배열표와 날개셋 파일을 올리려고 합니다. 2016년에 제안한 신세벌식 P2 자판의 본래 배열은 위 배열과 같습니다. 영문 쿼티 자판을 기준으로 본래 배열의 따옴표, 가운뎃점, 머무름표의 자리...
텍스트큐브의 라인(줄글)은 텍스트큐브 1.8부터 들어간 기능이다. 잘 하면 트위터 같은 쪽글 SNS와 연동시키는 쪽으로 쓸 수도 있을 것 같은데, 활용도를 높이기에는 아쉬운 점들이 있다. 가장 아쉬운 점은 줄글에 웹 주소가 들어 있어도 <a> 태그로 고리가 걸리지 않은 채로 평문으로 나오는 것이다. 웹 주소 고리라도 저절로 걸리면 SNS에서 흔히 그러는 것처럼 짤막한 생각이나 소식을 알리는 데에 라인 기능을 쓸 수 있...
텍스트큐브/기워쓰기2018/03/08 18:41by 팥알PHP를 7.2로 판올림하더라도 텍스트큐브 1.10.×판의 기능들은 거의 잘 작동한다. 다만 SNS 쪽글과 비슷한 라인(줄글) 기능은 관리자 화면과 블로그 화면 모두에서 작동하지 않았다. 매개변수가 빠진 함수 하나가 있었기 때문이었고, 이를 고치니 라인 기능이 잘 작동했다. framework/model/Line.php 19째 줄 public function reset($param = null) { ↓ public function reset($table = null, $param = null) {
1) 한글 문화원이 주도할 수밖에 없었던 공세벌식 자판 연구 공세벌식 자판을 쓴 수동식 공병우 타자기는 1950년대부터 공공 기관의 업무에 쓰이기 시작했다. 하지만 6·25 동란을 거치며 어려웠던 경제 상황, 문서 만드는 관행, 기계식 수동 타자기의 묵직한 특성 때문에 한글 타자기가 요즈음의 컴퓨터처럼 흔히 쓰이는 기기는 되기 어려웠다. 지난날로 거슬러 올라갈수록 타자기는 개인들이 흔히 쓸 수 있는 기기가 아니었고...
텍스트큐브/기워쓰기2017/09/10 22:52by 팥알MySQL에서 select_full_join 값은 테이블의 열 목록을 담은 찾아보기(인덱스)를 참조하지 못하고 테이블을 샅샅이 뒤져 이어붙이기(full-join)한 잦기를 나타낸다. 이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처리 성능을 많이 떨어뜨릴 수 있는 작업 유형이므로, 이어붙이기(join)가 들어가는 SQL 결과문을 만들 때에 찾아보기를 참조하거나 조건절을 붙여서 테이블의 테이블을 필요한 데만 좁혀 찾게 하면 좋다. 그래서 찾아보기를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