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이 된 세벌식? - (8) 초기 공병우 직결식에 쓰인 한글 부호계 ② - 3-891 자판, 3-91 자판

1) 직결식 글꼴에 담긴 과도기형 공세벌식 자판 (가칭 3-891 자판)

  초기 공병우 직결식(제1 공병우 직결식)은 공세벌식 자판 배열에 따라 직결식 글꼴의 글꼴-부호값 구성이 달라지는 체계였다. 이를 거꾸로 이용하면, 초기 방식을 따르는 공병우 직결식 글꼴을 살펴서 그 글꼴로 쓸 수 있는 공세벌식 자판의 세부 배열을 알 수 있다.

  공세벌식 자판은 3-87 자판이 나온 뒤에도 3-89 자판, 3-90 자판, 3-91 자판이 더 나왔다.

  3-87 자판까지 나온 공세벌식 자판들은 거의가 공병우가 연구하여 만들어졌지만, 3-89 자판과 3-90 자판은 한글 문화원의 연구원이던 박흥호가 공병우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배열 연구를 주도하여 나왔다.

3-89 자판 (IBM-3-89)
[그림 17-1] 3-89 자판 (IBM-3-89)

  3-89 자판은 IBM PC 호환 기종에 보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지만, 매킨토시 기종과 타자기에서 두루 쓰는 것도 겨냥하였다. 요즘한글에 쓰이는 67개 낱자(첫소리 19개, 가운뎃소리 21개, 끝소리 27개)가 모두 기본 배열에 들어가서 오히려 3-87 자판보다 공병우 직결식으로 쓰기 좋은 꼴이었다. 그래서 3-89 자판은 공병우 직결식이 쓰이는 매킨토시 환경에서도 쓸 수 있다는 뜻으로 'IBM-3-89 통일'이라는 이름이 붙기도 했다.

  하지만 3-89 자판은 IBM PC 호환 기종에서 ᄒᆞᆫ글(아래아한글)과 같은 프로그램을 통하여 주로 쓰였고, 일반에 공개되었던 자료들을 통해서는 3-89 자판이 매킨토시 환경에서 쓰인 흔적을 찾을 수 없다.

3-90 자판 (IBM-3-90)
[그림 17-2] 3-90 자판 (IBM-3-90)

  3-89 자판의 개선판인 3-90 자판은 배열 특징이 1980년대에 공병우가 연구하던 공세벌식 자판들과 많이 달라졌다. 3-90 자판은 겹받침 수가 줄었고 기호 배열이 영문 자판과 비슷해졌다. 이 덕분에 처음 익히는 사람이 3-90 자판을 빨리 익힐 수 있어서 3-87 자판이나 3-89 자판보다 쓰는 사람이 빠르게 늘 수 있었다.

  하지만 3-90 자판은 공병우 직결식을 쓰고 싶어 한 공병우의 마음에 들 수 없는 꼴이었다. 3-90 자판은 겹받침이 몇 개 빠진 것 때문에 단순한 공병우 직결식으로 쓸 수 없었고, 직결식으로 쓰려면 받침 쪽에서 예외 처리가 더 필요했다. 한글 배열을 더 다듬어야 할 점도 남아 있었다. 매킨토시 환경에서 되도록 간단한 직결식 처리로 한글을 넣고 나타내는 것을 고집한 공병우는 박흥호의 연구 결과에 만족하지 않고 공세벌식 자판을 연구하는 작업을 따로 이어 나갔다.

  1990년대에 공개된 제1 직결식 글꼴들 가운데는 앞에서 본 Kong-m-98처럼 3-87 자판으로 쓸 수 있게 나온 것도 있었고, 3-91 자판으로 쓸 수 있게 나온 글꼴도 있었다. 그런데 아래처럼 3-87 자판도 3-89 자판도 3-91 자판도 아니지만 이 공세벌식 자판들의 특징이 섞인 과도기형 공세벌식 자판을 담은 직결식 글꼴도 있었다.

제1 공병우 직결식 글꼴 Kong-000에 담긴 기본 배열
[그림 17-3] 제1 공병우 직결식 글꼴 Kong-000에 담긴 기본 배열
제1 공병우 직결식 글꼴 Kong-000에 담긴 확장 배열
[그림 17-4] 제1 공병우 직결식 글꼴 Kong-000에 담긴 확장 배열

  위에 나타낸 글꼴은 Kong-000이고, 아래는 Kong-10-NNN-2이다. 두 글꼴은 공세벌식 자판 배열에 따라 부호값 구성이 달라지는 제1 공병우 직결식 글꼴이다. 한글 배열과 숫자 배열이 같고, 기호들의 자리가 조금 다르다.

제1 공병우 직결식 글꼴 Kong-10-NNN-2에 담긴 기본 배열
[그림 17-5] 제1 공병우 직결식 글꼴 Kong-10-NNN-2에 담긴 기본 배열
제1 공병우 직결식 글꼴 Kong-10-NNN-2에 담긴 확장 배열
[그림 17-6] 제1 공병우 직결식 글꼴 Kong-10-NNN-2에 담긴 확장 배열

  기호 배열은 Kong-10-NNN-2이 더 다듬어진 꼴인 것 같은데, 어느 쪽이 먼저 만들어졌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3-87 자판에는 기본 배열에 참고표 구실한 한 것으로 보이는 기호가 폭이 넓은 별표(*: asterisk)에 가까운 모습으로 들어갔는데, Kong-10-NNN-2에는 흔히 알려진 '당구장 표시'라고도 불리는 꼴로 참고표가 들어갔다. Kong-000에는 기본 배열에 폭이 넓은 별표(*)가 들어 있고, 확장 배열에 엔화 기호(¥)가 없는 대신에 참고표(※)가 있다.

제1 공병우 직결식 글꼴인 Kong-10-NNN-2에 담긴 공세벌식 자판 배열 (한글토크 시스템 6.0.7 키캡)
[그림 17-7] 제1 공병우 직결식 글꼴인 Kong-10-NNN-2에 담긴 공세벌식 자판 배열 (가칭 3-891 자판) (한글토크 시스템 6.0.7 키캡)
Kong-10-NNN-2에 담긴 공세벌식 자판 배열 (가칭 3-891 자판)
[그림 17-8] Kong-10-NNN-2에 담긴 공세벌식 자판 배열 (가칭 3-891 자판)

  Kong-000과 Kong-10-NNN-2에 담긴 공세벌식 자판은 3-89 / 3-90 / 3-91 자판의 배열 특징들이 섞여 있다.

  겹받침 배열은 3-89 자판과 같다. 첫소리 ㅋ과 홀소리 ㅛ · ㅖ와 받침 ㅂ · ㅎ 자리는 3-89 자판과 다르고 3-90 자판 및 3-91 자판과 같다.

  숫자 배열은 수동식 공병우 타자기에 쓰이던 2줄 배열이고, 3-91 자판에도 이와 같은 2줄 숫자 배열이 들어갔다. 이에 관한 이야기는 아래에서 더 다룰 것이다.

  기호 배열은 아직 정비되지 못한 모습이다. 짝이 없는 작은따옴표( ' )가 없다. < > ( ) ? ! - / 같은 기호들과 열고 닫는 따옴표들의 자리에서 3-91 자판의 특징이 보인다.

  이렇게 여러 공세벌식 자판의 배열 특징이 섞여 있는 이 과도기형 공세벌식 자판은 배열이 널리 알려지 있지 않았고 딱히 불리는 이름도 없었다. 다른 과도기형 공세벌식 자판이 더 있을 수도 있지만, 이 공세벌식 자판을 담은 직결식 글꼴이 배포된 적이 있으므로 언제까지나 과도기형 공세벌식 자판이라고만 부르기도 마땅하지 않다. 그래서 글쓴이는 이 자판 배열에서 3-89 자판과 3-91 자판의 특징이 함께 보인다는 뜻을 담아 '3-891 자판'이라는 이름을 가칭으로 붙여 본다.

  3-87 자판으로 쓰는 직결식 부호계에는 첫소리 ㄲ · ㄸ · ㅃ · ㅆ · ㅉ이 들어가지 않았지만, Kong-10-NNN-2 등에 들어간 3-891 자판에는 첫소리 겹낱자들이 확장 배열에 들어갔다. 3-91 자판으로 쓰는 제1 공병우 직결식 글꼴에는 이 첫소리 겹낱자들이 들어가기도 하고 들어가지 않기도 하는 모습을 보이다가, 공한글 스크립트로 쓰는 제2 공병우 직결식 글꼴에는 확장 배열에 첫소리 겹낱자들이 들어갔다.

첫소리 ㄲ을 ㄱㄱ으로 찍은 직결식 글꼴이 담긴 월간지 기사 (「한글의 과학성 극대화로 문자생활의 혁신 가져올 세벌체와 세벌식 자판」, 《뉴월드》 1989년 12월호)
[그림 17-9] 첫소리 ㄲ을 ㄱㄱ으로 찍은 직결식 글꼴이 담긴 월간지 기사 (「한글의 과학성 극대화로 문자생활의 혁신 가져올 세벌체와 세벌식 자판」, 《뉴월드》 1989년 12월호)

  만약 ㄲ을 선택 글쇠를 눌러 쓰는 확장 배열로 넣는다면 타자 동작이 불편해진다. 글쓴이는 이들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를 알리는 예제나 지침을 보지 못했지만, 따로 들어간 첫소리 겹낱자들이 쓰인 모습은 한글 문화원이 배포한 자료들에 남아 있다. 그림 17-9과 같은 1980년대 자료들에서는 직결식 글꼴로 찍은 글에 첫소리 ㄲ을 ㄱㄱ으로 찍은 모습이 보이지만, 1990년대 자료에서는 에는 그럼 17-10처럼 직결식 글꼴에 따로 들어간 첫소리 ㄲ · ㄸ · ㅃ · ㅆ · ㅉ이 쓰여서 좀 더 고르게 보이는 글씨를 볼 수 있다.

첫소리 겹낱자들이 따로 들어간 직결식 글꼴을 볼 수 있는 한글 문화원 안내문 (「한글 3벌식 딱지 보급에 대해 알림」, 1993.12.29.)
[그림 17-10] 첫소리 겹낱자들이 따로 들어간 직결식 글꼴을 볼 수 있는 한글 문화원 안내문 (「한글 3벌식 딱지 보급에 대해 알림」, 1993.12.29.)
확장 배열에 들어간 겹첫소리 넣기 (Kong-10-NNN-2) (떡볶이에 짜장면에) (움직그림)
[그림 17-11] 확장 배열에 들어간 겹첫소리 넣기 (Kong-10-NNN-2) (떡볶이에 짜장면에) (움직그림)

  앞의 글(https://pat.im/1187) 그림 16-7과 마찬가지로 윈도우에서 매킨토시 에뮬레이터 바실리스크 II(Basilisk II)로 띄운 화면이다. 아래에 보이는 자판은 날개셋의 화면 키보드 기능을 띄운 것인데, 날개셋의 화면 키보드 기능에서는 선택 글쇠(option key)가 눌린 것을 나타낼 수 없어서 글쓴이가 움직그림을 편집하여 한자 글쇠(HJ) 자리로 선택 글쇠(Opt)가 눌린 것을 나타내었다.

  그림 17-11처럼 첫소리 ㄲ · ㄸ · ㅃ · ㅆ · ㅉ을 확장 배열에서 넣는 한글 타자 방법은 누구도 권장한 적이 없다. 선택 글쇠를 누르는 것이 불편하여 이 타자 방법이 실무에는 쓰이지 않았을 것이다. 아마도 첫소리 ㄲ을 ㄱㄱ으로 치는 본래 타자법대로 글을 넣은 다음에 문서 편집기의 바꾸기 기능으로 ㄱㄱ 따위를 ㄲ 따위로 한꺼번에 바꾸는 방법이 쓰였을 것이라고 짐작해 볼 수 있다.주1 주2

[표 17-1] 3-891 자판으로 쓰는 제1 공병우 직결식 부호계 (자판 배열 대응형) (Kong-10-NNN-2)
  8
7
6
5
0
0
0
0
0
0
0
1
0
0
1
0
0
0
1
1
0
1
0
0
0
1
0
1
0
1
1
0
0
1
1
1
1
0
0
0
1
0
0
1
1
0
1
0
1
0
1
1
1
1
0
0
1
1
0
1
1
1
1
0
1
1
1
1
4321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0000 0       ᄏᅠ 9 ᅟᅤ ᄑᅠ t 우# ᅟ‥‥ K
0001 1     ᅟᅠᆽ ᅟᅠᇂ ᅟᅠᆮ ᅟᅠᇁ ᅟᅠᆼ ᅟᅠᆺ A * = ¹ L
0010 2     · ᅟᅠᆻ ? ᅟᅠᆶ ᅟᅮ ᅟᅢ C 공병우 ᄁᅠ l °
0011 3     ᅟᅠᆿ ᅟᅠᆸ ᅟᅠᆱ ᅟᅠᆭ ᅟᅦ ᅟᅠᆫ 공병우 ᄍᅠ v [ W Z
0100 4     ᅟᅠᆵ ᅟᅭ ᅟᅠᆰ ᅟᅠᆳ ᅟᅵ ᅟᅥ |   y f E X
0101 5     ᅟᅠᆴ ᅟᅲ ᅟᅠᆬ 6 ᅟᅧ ᄃᅠ ® m x ] R B
0110 6     ᅟᅣ ᅟᅠᆩ ᅟᅠᆲ ᅟᅡ ᅟᅩ d j ᄈᅠ T N
0111 7     ᄐᅠ ᅟᅨ ᅟᅠᆪ ᅟᅠᇀ ᅟᅳ ᅟᅠᆯ s w \ V Y M
1000 8     ᅟᅴ 0 ᅟᅠᆹ ᄂᅠ ᅟᅠᆨ r P | U
1001 9     ᅟᅮ 7 5 ᄆᅠ ᄅᅠ g p ᄄᅠ ; I
1010 A     4 1 ᅟᅠᆾ ᄋᅠ ᅟᅠᆷ ÷ ² b 공병우 S h
1011 B     + ᄇᅠ 2 ( ᄀᅠ %   e © ® @ D k
1100 C     , , 3 > ᄌᅠ a u © # F  
1101 D     ) : " < ᄒᅠ / c   z $ G  
1110 E     . . - ᄉᅠ n   ᄊᅠ Q ± H  
1111 F     ᅟᅩ ! 8 ~ ᄎᅠ 공병우 계속 O o q   J  

  3-891 자판은 한글 배열이 3-89 자판과 비슷한 편이지만, 3-90 자판과 3-91 자판의 공통된 한글 배열 특징도 보인다. 이로 미루어서 3-90 자판이 나온 때와 가까운 1990~1991년 사이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공병우는 연구하던 배열을 공개하면서 몇 차례 고쳐 나갔으므로, 직결식 글꼴에 담아 배포했더라도 자꾸 바뀌어 나오는 배열이 보급용 배열로 자리를 잡기는 어려웠다.

  한글 문화원의 연구원을 지낸 박흥호의 블로그 '호박 동네'에 공개된 글인 「세벌식 390 자판이 나오게 된 사연」에 이 중간형 공세벌식 배열과 관련이 있어 보이는 내용이 있다.

389 자판에서 한글 배열에만 신경을 쓴 나머지, 당시 대학생 동아리에서는 주로 컴퓨터 써클에서 세벌식 보급 운동에 많은 호응을 보였는데, 프로그래머들은 영문 타이핑을 늘 하게 되므로, 기호가 영문과 너무 많이 다른 389 글자판에 대한 보완 요청이 많았습니다. 프로그래머뿐만 아니라 세벌식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한글 자판만 익혀야 하는 것이 아니고 가끔 쓰는 기호나 숫자까지 사뭇 다른 389 자판에 커다란 거부감을 표시했으므로, 세벌식 보급에 적지 않은 걸림돌이 되었습니다.

저도 처음 만들어본 글자판 배열에, 커다란 한글 말뭉치(corpus) 데이터를 389 글자판 타이핑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통계를 내어 보니, 빈도와 운지거리 등에서 389 한글 배열을 보완할 부분이 있었습니다.

박사님께서도 1년 사이 여러 실험과 말뭉치 실험 결과 등을 통하여 새로운 글자판 배열을 만들고 계셨고, 박사님의 연구 결과는 곧 보급판으로 발표하려는 시점이었습니다.

저는 이제 막 컴퓨터를 사용하는 젊은 대학생들로부터 세벌식 보급 운동이 일어나고 있는 시점에서 한글 문화원의 세벌식 배열을 바꾼다는 것은 찬물을 끼얹는 결과가 될 것 같아 박사님께 당초 약속대로 보급용 배열을 바꾸지 말 것을 건의했지만, 저 역시 바꾸는 것이 길게 볼 때 낫겠다는 판단 때문에 결국은 박사님과 딱 한번 마지막으로 한글 문화원 공식 자판을 개선하기로 결론을 내렸습니다.

마지막으로 이번 딱 한번만 한글 문화원의 글자판 배열을 바꾼다는 결론에 세벌식 사용자들을 신뢰를 얻기 위하여 저의 사표를 걸고 발표한다고까지 했지만, 또다시 세벌식 배열을 바꾼 데 대한 불만과 앞으로 또 바꿀 건데 안 바꾸겠다는 등의 이견이 상당했습니다. 또한 당시 세벌식은 지금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소수의 사람만 사용하는 글자판이었으므로, 아래아 한글 개발팀이나 다른 프로그램 개발팀에게도 세벌식 자판 배열 추가를 설득하는 데 상당히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세벌식으로 전환하려던 사람들로부터 받은 우려는 말할 것도 없었구요.

박흥호, 「세벌식 390 자판이 나오게 된 사연」, 호박동네
(https://blog.daum.net/hopark/15415)

  이 글에 따르면, 3-89 자판은 공병우가 매킨토시 환경에서 연구하고 있던 결과물이 바탕이 된 일반 보급용 공세벌식 글자판이면서 한글 문화원의 공식 자판이었다. 박흥호가 다시 연구를 주도하여 개선한 3-90 자판을 한글 문화원의 공식 자판으로 발표하려는 무렵이 공병우도 따로 연구 결과물을 보급판으로 발표하려 한 때였다고 하는데, 어쩌면 Kong-10-NNN-2 등에 3-891 자판(가칭)이 발표하려 했거나 발표한 보급판이었을지 모른다. 3-891 자판의 배열 특징이 3-90 자판과 비슷한 점이 있어서 비슷한 때에 나온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아직 완성되지 않은 3-91 자판의 모습이 담긴 소책자 사진 (한글문화원 사진 자료) (1991.9.4)
[그림 17-10] 아직 완성되지 않은 3-91 자판의 모습이 담긴 소책자 사진 (한글문화원 사진 자료) (1991.9.4)

  그림 17-10은 2000년대에 문을 연 한글문화원(원장: 송현)의 그물누리집 자료실에 공개되었던 소책자 사진이다. 이 자료에 보이는 것처럼 연구 단계에 있던 공세벌식 자판이 소책자에 담겨 공개된 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배열표에서 알아보기 힘든 겹받침이 몇몇 있지만, 3-91 자판과 조금 다른 점이 보이는 한글 배열을 볼 수 있다.

  개발 단계에 있는 공세벌식 자판을 미리 공개한 것에는 이를 본 사람들에게 의견을 들으려는 뜻도 있었겠지만, 소책자나 프로그램/글꼴로 공개되는 정보를 본 사람들이 곧바로 뜻있는 의견을 내기는 쉽지 않았다. 이런 자료를 접할 수 있는 사람이 많지 않았고, 써 보지 않은 자판 배열을 분석하거나 곧바로 이야기할 수 있을 만큼 한글 자판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쌓인 사람이 드물었기 때문이다.

  공세벌식 자판이 매킨토시가 아니라 IBM PC 호환 기종에서 훨씬 더 많이 쓰인 것도 만든 사람과 쓰는 사람의 의사 소통에 걸림돌이 되었다. 오늘날에는 날개셋 한글 입력기처럼 여러 프로그램에서 새로운 자판 배열을 시험하고 실무에 쓸 수 있게 해 주는 도구가 있지만, 1980~1990년대에 IBM PC 호환 기종에서 쓰인 프로그램들은 한글 입출력 기능을 제각기 구현하는 경우가 많았으므로 새로 만든 한글 자판이 널리 쓰이려면 여러 프로그램 개발자들이 먼저 협조해 주어야 했다.

  1990년대 초반의 공세벌식 자판은 비로소 전산 환경에서 뜻있는 보급 성과를 내기 시작했지만, 더 보완해야 할 배열 문제들이 남아 있었다. 3-90 자판과 3-91 자판이 나온 뒤에도 쓰는 사람들의 의견을 들으며 보급용 배열을 고치는 작업을 더 이어 갔어야 했지만, 공세벌식 자판을 쓰고 있는 사람들과 애써 협조해 준 프로그램 개발자들이 겪을 혼란을 생각하면 보급용 배열을 자꾸 바꾸는 일은 신중히 결정해야 했다. 이런 점들에 얽힌 어려움들이 위에 인용한 박흥호의 글에 이야기되어 있다.

2) 3-91 자판에 맞춘 초기 방식 공병우 직결식 부호계

3-91 자판 (공병우 최종 자판) (매킨토시 세벌식 자판)
[그림 17-11] 3-91 자판 (공병우 최종 자판)

  공병우의 중간 연구물인 3-891 자판(가칭)은 그림 17-10에 보이는 배열을 거쳐 1992년부터 보급된 3-91 자판으로 이어졌다. 3-91 자판의 본래 이름인 '공병우 최종 자판'은 '공병우가 마지막으로 내놓는 한글 자판'이라는 뜻이 담겨 있다.

  3-91 자판에는 타자기와 컴퓨터의 한글 배열을 통일한다는 목표가 함께 내걸렸다. 하지만 이 무렵에 컴퓨터에 밀려 이미 사양길에 접어들었던 한글 타자기 시장은 다시 힘을 되찾지 못했다. 3-91 자판은 기계식/전자식 타자기용 배열이 따로 있었으나 3-91 자판이 들어간 타자기 제품이 나오지는 않으므로, 타자기에서 3-91 자판을 쓰는 것은 이론에 그쳤다. 3-91 자판을 만든 더 중요한 목표는 '공병우 직결식'을 쓰는 것에 있었다.

  공병우는 3-87 자판과 마찬가지로 제1 공병우 직결 방식에 따라 3-91 자판으로 쓸 수 있는 직결식 글꼴을 1992년부터 배포하였다. 3-91 자판과 직결식 글꼴에 얽힌 정보들은 아래의 글들에서도 살펴 보았다.

매킨토시 시스템 6.0.8의 키캡(Key Caps)으로 본 제1 공병우 직결식 글꼴 Kong 125-F-9에 담긴 3-91 자판 배열
[그림 17-12] 매킨토시 시스템 6.0.8의 키캡(Key Caps)으로 본 제1 공병우 직결식 글꼴 Kong 125-F-9에 담긴 3-91 자판 배열

  3-87 자판과 견주어서 3-91 자판의 기본 배열이 달라진 점들을 이렇게 간추려 볼 수 있다.

  • 자리를 옮긴 한글 낱자
    • 첫소리 : ㄱ, ㄷ
    • 홀소리 : ㅐ, ㅒ, ㅖ, ㅛ, ㅣ
    • 홑받침 : ㅂ, ㅈ, ㅋ, ㅎ
    • 겹받침 : ㄲ, ㄳ, ㄵ, ㄺ, ㄻ, ㄼ, ㄽ, ㄿ
  • 자리를 옮긴 기호 : ! ? ₩ · % < > ( ) ;
  • 기본 배열에 더 들어간 기호 : = “ ” *
  • 기본 배열에서 빠진 기호 : 『 』
  • 숫자 배열 : 3줄 배열 → 2줄 배열

  자리가 바뀌거나 더 들어가거나 빠진 문자들이 있어서, 3-91 자판으로 쓰는 제1 공병우 직결식 부호계의 구성은 3-87 자판으로 쓰는 직결식 글꼴과 달랐다.

[표 17-2] 제1 공병우 직결식 부호계 (3-91 자판 + 기호 확장)
(자판 배열 대응형) (Kong-215 등)
  8
7
6
5
0
0
0
0
0
0
0
1
0
0
1
0
0
0
1
1
0
1
0
0
0
1
0
1
0
1
1
0
0
1
1
1
1
0
0
0
1
0
0
1
1
0
1
0
1
0
1
1
1
1
0
0
1
1
0
1
1
1
1
0
1
1
1
1
4321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0000 0       ᄏᅠ ᅟᅠᆰ 9 * ᄑᅠ t ± & K
0001 1     ᅟᅠᆩ ᅟᅠᇂ ᅟᅠᆮ ᅟᅠᇁ ᅟᅠᆼ ᅟᅠᆺ A * = ¹ ~ L
0010 2     · ᅟᅠᆻ ? ᅟᅠᆶ ᅟᅮ ᅟᅢ C < l [ °
0011 3     ᅟᅠᆽ ᅟᅠᆸ ᅟᅠᆿ ᅟᅠᆭ ᅟᅦ ᅟᅠᆫ ³ > v { W Z
0100 4     ᅟᅠᆵ ᅟᅭ ᅟᅠᆲ ᅟᅠᆳ ᅟᅵ ᅟᅥ | y f ] E X
0101 5     ᅟᅠᆴ ᅟᅲ ᅟᅠᆬ 6 ᅟᅧ ᄃᅠ m x } R B
0110 6     ᅟᅣ ᅟᅠᆱ ᅟᅠᆪ ᅟᅡ ᅟᅩ d j T N
0111 7     E ᅟᅨ ᅟᅤ ᅟᅠᇀ ᅟᅳ ᅟᅠᆯ s w \ V Y M
1000 8     ' ᅟᅴ 0 ᅟᅠᆹ ᄂᅠ ᅟᅠᆨ r P | U
1001 9     ~ ᅟᅮ 7 5 ᄆᅠ ᄅᅠ g p   I
1010 A     4 1 ᅟᅠᆾ ᄋᅠ ᅟᅠᆷ ÷ ² b 공병우   S h
1011 B     + ᄇᅠ 2 ( ᄀᅠ %   e ® @ D k
1100 C     , , 3 : ᄌᅠ a u © # F  
1101 D     ) > " < ᄒᅠ / c   z $ G  
1110 E     . . - = ᄉᅠ n   Q H  
1111 F     ᅟᅩ ! 8 ; ᄎᅠ 공병우 계속 O o q J  
제1 공병우 직결식 글꼴로 쓰인 3-91 자판 배열
[그림 17-13] 제1 공병우 직결식 글꼴로 쓰인 3-91 자판 배열

  제1 공병우 직결 방식에 따라 3-91 자판과 직결식 글꼴을 써서 한글을 넣는 원리는 3-87 자판에 맞춘 공병우 직결식 글꼴과 같다. 3-91 자판의 한글 · 기호 배열이 3-87 자판과 달라진 것 때문에 기본 배열에 들어가는 문자들을 나타내는 부호값이 바뀌었을 뿐이다. 주로 영문을 넣는 확장 배열은 3-87 자판으로 쓰인 것과 비슷하다.

  3-91 자판으로 쓰는 제1 공병우 직결식 글꼴도 이전에 쓰인 직결식 글꼴처럼 영문 환경에 맞추어진 매킨토시 운영체제에서 널리 쓸 수 있었다. 하지만 그림 16-7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제1 공병우 직결식으로 넣은 글은 글을 넣을 때에 쓴 자판 배열을 지원하는 직결식 글꼴이 있어야 바른 꼴로 볼 수 있다. 자판 배열에 따라 문자를 나타내는 부호값이 달라지는 제1 공병우 직결식의 특성 때문에 공병우 직결식이 현실 세계에서 안정적으로 쓰이기는 어려웠다.

▣ '공 한글 시스템' 안내문에 나오는 제1 공병우 직결식 글꼴을 쓰는 방법

제1 공병우 직결식 글꼴을 쓰는 방법이 담긴 한글 문화원의 프로그램 배포 설명문
[그림 17-14] 제1 공병우 직결식 글꼴을 쓰는 방법이 담긴 한글 문화원의 프로그램 배포 설명문

  이 설명문에 나오는 '공 한글 시스템'은 매킨토시 운영체제(시스템: System)의 한글판인 '한글토크'(HangulTalk) 6.0.7에 '세벌식 입력',주3 제1 공병우 직결식 글꼴, 제2 공병우 직결식 글꼴, 제2 공병우 직결식 글꼴을 쓸 수 있게 해 주는 입력 스크립트를 묶어서 배포한 꾸러미이다.주4 이 글에서 다루는 공병우 직결식 글꼴들 가운데 많은 수가 이 '공 한글 시스템'에 함께 배포된 것들이다.

▣ 공세벌식 자판의 2줄/3줄 숫자 배열

  공세벌식 자판에서 3줄 숫자 배열은 1971년에 세종대왕기념사업회가 공병우 타자기 자판을 바탕으로 하여 민간 통일 자판 시안으로 제안한 보통 타자기용 '한글 기계 기본 글자판'(그림 17-15)에 실린 적이 있다.

한글 기계 기본 글자판 (수동 타자기)
[그림 17-15] 한글 기계 기본 글자판 (보통 타자기)

【그림 17-15에 얽힌 글 : 세대를 나누어 살펴보는 공병우 세벌식 자판 - 3. 세째 세대 (1960~1970년대) (https://pat.im/960)】

  그러나 수동 타자기는 글쇠의 높낮이 차가 커서 손가락을 위/아래로 많이 움직여야 하는 3줄 숫자 배열은 쓰기에 불편하다. 그래서 수동 타자기에서는 3줄 숫자 배열이 거의 쓰이지 않았고, 컴퓨터를 쓰는 전산 환경이 자리를 잡아 가던 1980년대부터 3-87 / 3-89 / 3-90 자판에 3줄 숫자 배열을 쓰는 기조가 이어졌다.

  2줄 숫자 배열은 1960~1970년대의 공병우 타자기들에 자주 쓰였다. 3줄 숫자 배열보다 손가락을 위/아래로 움직이는 거리가 짧아서 글쇠들의 높낮이 차가 큰 수동 타자기에서 쓰기에 좋고, 기호 배치를 더 깔끔하게 하기 좋은 면도 있다.

두째 세대 공병우 자판 배열 ① (《한글 타자기 자판에 관한 인간 공학적 비교 연구》)
[그림 17-16] 수동식 공병우 타자기 자판 (두째 세대 ①, 44글쇠)

【그림 17-12 : 세대를 나누어 살펴보는 공병우 세벌식 자판 - 2. 두째 세대 (1960년대) (https://pat.im/959)】

  수동 타자기에 쓰이던 2줄 숫자 배열은 Kong-10-NNN-2 등에 담긴 3-891 자판을 통하여 전산 환경에서 쓰이는 공세벌식 자판에 다시 등장하였다. 이 숫자 배열이 3-91 자판(공병우 최종 자판)에도 그대로 이어졌다.

  일의 결과를 따진다면, 전산 환경에서 쓰는 공세벌식 자판에 2줄 숫자 배열을 다시 끌어들인 것은 좋은 일이 아니었다. 쓰는 사람이 좋은 것을 골라 쓸 수 있는 폭을 늘리는 효과는 있었지만, 그 점 때문에 공세벌식 자판을 쓰거나 익히려는 사람들은 더 많이 갈등해야 했다.

  1990년대 이후에 공세벌식 자판은 3-90 자판과 3-91 자판이 함께 쓰이는 상황을 맞았는데, 두 공세벌식 자판이 한글 · 기호 · 숫자 배열이 모두 다른 것은 공세벌식 자판을 쓰는 사람들의 배열 취향을 다양하게 나누어 놓았다. 이를테면 3-90 자판을 쓰는 사람은 다른 숫자 배열을 받아들이기 어려울 수 있고, 3-91 자판을 쓰는 사람은 다른 한글 배열을 받아들이기 어려울 수 있다. 공세벌식 자판을 쓰는 사람들은 한글 · 기호 · 숫자 배열 가운데 마음에 드는 요소 때문에 마음에 들지 않은 요소를 참고 쓰기도 하고, 한글은 공세벌식 자판으로 넣으면서 기호와 숫자는 영문 자판으로 넣기도 한다.

  이런 문제들이 얽히면서 공세벌식 자판을 통합하는 일이 매우 까다로워졌다. 한글 자판을 다룰 때에는 한글 배열을 위주로 생각하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지지만, 3-91 자판이 힘을 얻은 뒤의 공세벌식 자판은 한글 배열만 다루어서는 배열 통합 문제가 간단히 풀릴 수 없게 되었다. 한때 공세벌식 자판에는 '한글 자판 통일'이라는 목표가 내걸렸지만, 숫자 배열 문제까지 단단히 엉킨 1990년대 이후의 공세벌식 자판은 '공세벌식 자판 통일'도 이루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 참고한 자료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한글 기계 글자판에 대한 심의 보고서〉, 1972.
  • 「매킨토시 한글 TALK 개발」, 《과학동아》 1988년 3월호 (https://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198803N069)
  • 뉴월드, 「한글의 과학성 극대화로 문자생활의 혁신 가져올 세벌체와 세벌식 자판」, 도서출판 골든, 《뉴월드》 1989년 12월호, 1989.12.1.
  • 「엘렉스에서 새로 개발하는 3벌식 글자판」 등을 담은 한글 문화원 소책자 자료 (1991.9.4) (출처 : 한글문화원 그물누리집 자료실에 공개된 사진 자료) 
  • 편집실, 「한글 모아쓰기 폰트 만들기」, 월간사진출판사, 《매킨토시와 실무》 1992년 1월호, 1992.1.15.
  • 한글 문화원, 「한글 3벌식 딱지 보급에 대해 알림」, 1993.12.29.
    (한글 문화원이 유인물로 배포한 안내문)
  • 박흥호, 「세벌식 390 자판이 나오게 된 사연」, 호박동네, 2003.1.18. (2005.2.1. 수정)
    (https://blog.daum.net/hopark/15415)
〈주석〉
  1. 직결식으로 넣은 한글은 별다른 한글 처리를 거치지 않고도 낱자 단위로 지우고 다시 넣을 수 있어서 같은 낱자들을 한꺼번에 바꾸는 방법을 쉽게 쓸 수 있다. back
  2. 옆에 오는 문자 조합에 따라 자간을 다르게 조절하는 커닝 페어(kernning pair)가 쓰였을 수도 있지만, 글쓴이가 찾은 1993년 이전에 나온 공병우 직결식 글꼴들은 그런 기능을 쓴 것이 없었다. (2021.4.25. 주석 더함) back
  3. 공 한글 시스템에 들어간 '세벌식 입력'은 3-91 자판을 써서 KS 완성형으로 한글을 넣는 기능이다. back
  4. 공 한글 시스템에서는 영문 글꼴과 영문 상태에서 쓸 수 있는 제1/제2 공병우 직결식 글꼴을 고르면 저절로 영문 상태로 바뀌게 하는 기능이 더 들어갔다. 그림 17-14의 설명문에 "이 폰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글톡 시스템을 변경하였습니다"고 한 것이 이 스크립트가 때를 맞추어 알아서 작동하게 한 것을 가리킨 것 같다. 나중에 이 입력 스크립트를 따로 떼어 '공 스크립트' 또는 '공한글 스크립트'라는 이름으로 PC 통신망 하이텔의 매킨토시 동호회 자료실을 통하여 배포된 적이 있다. 입력 스크립트를 따로 깐 운영체제에서는 공병우 직결식 글꼴을 고른 뒤에 저절로 영문 상태로 바뀌지 않으므로, 오른쪽 위에 쪽그림으로 뜨는 입력 항목을 영문(English, ◆ 꼴)으로 바꾸어서 직결식 글꼴을 쓸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수고를 더 해야 할 수 있었다. (2022.2.8. 설명과 주석 고침) back
글 걸기 주소 : 이 글에는 글을 걸 수 없습니다.

덧글을 달아 주세요